if you guys have requests PLEASE PM ME as well as putting the link/request on this thread. This thread tends to get pushed down pretty easily and I miss the requests really easily >.< PMs just simply remind me/get my attention better. thank you~~*
Presenting the TL.net Interview/Korean Stuff Translation Team!
You'll love us all: If you see ???????? ??? ?? ??? ?? ??? ?? ?? ?? ?? ?? ? in a korean website If you simply cannot wait to figure out what ???????? ??? ?? ??? ?? ??? ?? ?? ?? ?? ?? ? means If you just love Progaming interviews!
As of right now, the team consists of: (in no particular order)
This is the thread where you can request for interviews that you would like for us to translate! (I would translate all of them except there's too many friggin interviews these days with the 5 day proleague thing T_T) So post post post those requests! Otherwise we'll just randomly pick the ones we feel like (or just get lazy and not do any
I'll constantly update this thread to tell you guys who's gonna be working on which translations. Then those guys are going to translate and start a new thread that looks like: [interview] BLAH BLAH BLAH BLAH BLAH BLAH
Please please be patient with us. US TRANSLATORS HAVE LIVES TOO
Personally, I like to read winners interviews of the major leagues most of all. However, many of them are very similar. The ones that interest me the most are the ones where they comment on specific strategy, maps, team gossip, or give opinions. Too many gamers give generic answers.
On April 23 2007 22:00 Manifesto7 wrote: Personally, I like to read winners interviews of the major leagues most of all. However, many of them are very similar. The ones that interest me the most are the ones where they comment on specific strategy, maps, team gossip, or give opinions. Too many gamers give generic answers.
Same here. Please use your discretion and select what you think would be the more "informative" interviews for TL to read. For example, as much as I like Midas, his interviews would be one of the last ones I'd want to read. ;;
I would like to join if it's possible XD I can probably do at least one translation a day and I always wanted to contribute to this site ^^ Care if I join?
I gotta say, I'm becoming quite a fan of this new translation team.
Btw, I don't know if it's necessary, but you could make an index of all the interviews you guys translate. Though if you keep it up at this rate we'll need a whole interview forum. =P
On April 24 2007 04:55 LosingID8 wrote: i'll join... i suppose lol.
ARE YOU IN OR ARE YOU OUT GIVE ME A CLEAR ANSWER PRIVATE
What the hell? He will translate when he can. He can translate anything he wants without being obligated to doing it by being on a "list of translators."
I've seen plenty of people translate stuff out of the blue, and give better translations too. (Mrmin, losingid, etc)
On April 24 2007 04:55 LosingID8 wrote: i'll join... i suppose lol.
ARE YOU IN OR ARE YOU OUT GIVE ME A CLEAR ANSWER PRIVATE
What the hell? He will translate when he can. He can translate anything he wants without being obligated to doing it by being on a "list of translators."
I've seen plenty of people translate stuff out of the blue, and give better translations too. (Mrmin, losingid, etc)
See, that was a joke. The caps and the addressing him as "private" and ... yeah, he wasn't serious.
I wouldn't mind helping out the team. I dont know any korean to translate, but I'm good at realizing the meaning behind broken english phrases. Hmmm, for example:
YGCLAN : Mm.. that's true. He's been away for so long Nal_rA : But I'm still really still suprised. He's only been in the team for a few months, and he has been getting better above our expections, and he will continue to become better. I can't give a detailed analysis of GARIMTO's skill at this point, but I think an unextinguishable passion and determination is even more important than skill itself. He has many of the characteristics that make people better, so there seems to be a lot of hope for him in the future.
Turns into
YGCLAN : Mm.. that's true. He's been away for so long. Nal_rA : But I'm still really surprised. He's only been on the team for a few months, yet he continues to surpass our expectations. I can't give a detailed analysis of GARIMTO's skill at this point, but I think his unextinguishable passion and determination for the game are more important right now. He has many positive characteristics that allow people to get better, so there seems to be a lot of hope for him in the future.
A glossing-over of sorts. Not necessary, but makes it a little easier to read, i think, for the non-korean speakers.
[edit: Either way, I also want to express my gratitude towards the team ^^ Thanks, guys, for everything]
I've personally been habitually opposed to having an "offical" translating team, due to the fact that it is such a heavy workload and takes so much time, AND there is simply a boatload of things to translate.
I think translators should have the freedom to translate what they want, when they want, and not have to feel obligated towards anyone to have to meet deadlines or have to churn out every winner's interview. That just leads to burnout and lack of enjoyment for the translators who already do so much for us.
As WiP said,
He will translate when he can. He can translate anything he wants without being obligated to doing it by being on a "list of translators."
I think this should be the fundamental attitude towards any of our translators.
On April 25 2007 00:25 thedeadhaji wrote: I've personally been habitually opposed to having an "offical" translating team, due to the fact that it is such a heavy workload and takes so much time, AND there is simply a boatload of things to translate.
I think translators should have the freedom to translate what they want, when they want, and not have to feel obligated towards anyone to have to meet deadlines or have to churn out every winner's interview. That just leads to burnout and lack of enjoyment for the translators who already do so much for us.
He will translate when he can. He can translate anything he wants without being obligated to doing it by being on a "list of translators."
I think this should be the fundamental attitude towards any of our translators.
I don't think being on the team "forces" them to translate anything. What it does do is helps the translators work together so the same thing isn't done twice, and the workload can be spread out more:D They can also translate things like the LONG nal_ra interview much faster.
Meh, if they decide to translate one thing a month or even a year that's fine. You can't judge people who work for free for the benefit of us all. You can only accept it respectfully and be thankful.
On April 23 2007 22:00 Manifesto7 wrote:The ones that interest me the most are the ones where they comment on specific strategy, maps, team gossip, or give opinions.
Totally agree, though sometime they give away too much when talking about specifics I think.
an article called "the Loki behind story" on mapdori looks interesting; i think its about the map and its features and its formation and whatnot if someone could translate it it would be awesome! (unless its a waste of time article, inwhichcase dont bother)
My korean friends...this is from the blizzard wwi website describing the schedule for the guest speakers from Blizzard (dev team)...im assuming one of those is discussing the new game? Thanks in advance guys
5월19일 - 18:30 ~ 19:30 아트디자인 : 블리자드 스타일의 영상 창조 - 19:50 ~ 20:50 게임디자인 : 블리자드 스타일의 게임 개발 5월20일 - 11:00 ~ 12:00 아트디자인 : 블리자드 스타일의 영상 창조 - 12:20 ~ 13:20 게임디자인 : 블리자드 스타일의 게임 개발 - 15:40 ~ 16:40 아트디자인 : 블리자드 스타일의 영상 창조 - 17:00 ~ 18:00 게임디자인 : 블리자드 스타일의 게임 개발
스타일 is one word (Style). So you can't really associate 스타 from 스타일 to 스타 in 스타크래프트 just because they look same lol... hard to explain :d It'd be like... saying Nutrition is something about nut because nut is from nutty... Idk.
On May 14 2007 14:54 Smokin_Squirrel wrote: 스타일 is one word (Style). So you can't really associate 스타 from 스타일 to 스타 in 스타크래프트 just because they look same lol... hard to explain :d It'd be like... saying Nutrition is something about nut because nut is from nutty... Idk.
hi translation team, i'd have a quick favor to ask this is not really starcraft related but my teacher fails to give a good explanation T_T
could someone explain what this grammatical ending means: 하고싶었다나 뭐라나. the whole sentence would be: '메이플걸'이 가트라이더 살짝 고백하길, 사실은 '가트걸'이 하고 싶었다나 뭐라나. tyty!
하고싶었다나 뭐라나. ... wanted to do that or w/e (kind of in a condescending/bad attitude)
'메이플걸'이 가트라이더 살짝 고백하길, 사실은 '가트걸'이 하고 싶었다나 뭐라나. 'Maplegirl' confessed to Kartrider (i'm guessing that 가 is supposed to be 카), "I truthfully wanted do(be) Kartgirl" or w/e
=p I thought it was a request from fifo but <3 you snowbird so i'll let this one go hehe
how about the nada interview (the one on fighter forum? duno if it's actually an interview) after he beat jaedong in yesterday's proleague matchup between pantech and lecaf? thanx a bunch guys! greatly appreciated
how about the translation team translates an issue of ES-Force, so the western community could see how nice it is to have a weekly esports magazine. i'd help out too!
haha, now obviously this is a shitload of work and nobody has that much spare time, so how about we write to the publishers of ES-Force and ask them to pay us for an english edition... would also be nice for 초딩 who want to study english. this could be the new trend, learn english with a topic that interests you: e-sports! we could be making millions, not to mention all the chicks we'd get.
On May 15 2007 01:37 snowbird wrote: i just had an unrealistic idea i want to share!
how about the translation team translates an issue of ES-Force, so the western community could see how nice it is to have a weekly esports magazine. i'd help out too!
haha, now obviously this is a shitload of work and nobody has that much spare time, so how about we write to the publishers of ES-Force and ask them to pay us for an english edition... would also be nice for 초딩 who want to study english. this could be the new trend, learn english with a topic that interests you: e-sports! we could be making millions, not to mention all the chicks we'd get.
ok, end of unrealistic idea.
would be nice though.
Most of the team are foreigner korean and wouldn't be able to translate ESF fully. It's just not possible, probably even if they had the time to do it.
i can't translate it even if i want to cuz the TINY images i can see of the ES-force without subscribing is too small for me to even attempt reading past the title, even with my 20/20 vision >.<
If OP wants, I'll join the translation team as well; I guess my Korean is up to par, but I might mess some translations up; I haven't read much Korean material over the last couple of years, but I'll do my best.
On May 14 2007 19:21 unknown.sam wrote: how about the nada interview (the one on fighter forum? duno if it's actually an interview) after he beat jaedong in yesterday's proleague matchup between pantech and lecaf? thanx a bunch guys! greatly appreciated
Good news for you, my man. I am finally free from the burden called school; thus, I will get working on your wanted interview ASAP!
I think we'd all be interested in anything that isn't how do you put it, PC material. Things that are actually what that person thinks...i.e. like comments on games, someones strategy...chit chat between respected coaches maybe..
Maybe there's highly credible Korean forum that discusses certain games, maps, strategy that sort of thing. Anything that isn't what someone said just because they were in front of a camera or something.
On April 29 2007 09:54 KizZBG wrote: Is anyone else interested in Free's intervew after today's Proleague?
(hope that's not too much work)
On May 05 2007 03:09 Plexa wrote: an article called "the Loki behind story" on mapdori looks interesting; i think its about the map and its features and its formation and whatnot if someone could translate it it would be awesome! (unless its a waste of time article, inwhichcase dont bother)
On May 05 2007 03:09 Plexa wrote: an article called "the Loki behind story" on mapdori looks interesting; i think its about the map and its features and its formation and whatnot if someone could translate it it would be awesome! (unless its a waste of time article, inwhichcase dont bother)
ilovezil thanks for your help >.< i've been so busy with school/sats/aps lately and i ahven't really been keeping on top of any of this T_T
umm why don't you work on the Loki behind story thing? i'll ask the squirrel man to do free's interview so it's not too much work for you (since you already have to do the thing with kkong on YGclan =)
On April 29 2007 09:54 KizZBG wrote: Is anyone else interested in Free's intervew after today's Proleague?
(hope that's not too much work)
On May 05 2007 03:09 Plexa wrote: an article called "the Loki behind story" on mapdori looks interesting; i think its about the map and its features and its formation and whatnot if someone could translate it it would be awesome! (unless its a waste of time article, inwhichcase dont bother)
ilovezil thanks for your help >.< i've been so busy with school/sats/aps lately and i ahven't really been keeping on top of any of this T_T
umm why don't you work on the Loki behind story thing? i'll ask the squirrel man to do free's interview so it's not too much work for you (since you already have to do the thing with kkong on YGclan =)
one question. hopefully someone can answer my question. what is 바카닉?? I'm currently working on a short Free[gm] interview and I'm stuck because I don't know what the english term for it is.
Anyway, I made the same request in ilovezil's thread and I know it's very general and maybe a totally obvious request - but if you find anything interesting about SC2 (like some progamers reactions to it whatever) please translate : )
I've been away from TL for too long apparently, I think this is the first time I see this topic, awesome work btw (and the same goes for ilovezil)
Will try to find potential candidates for translation requests but it's kinda hard to pick out what's interesting when you can't understand more than a few words =]
thanks FA =) i browsed through FiFo just now and i can't seem to find anything interesting other than the one that you requested from zil. i'll try and keep my eyes peeled to see if i find anything interesting
On May 19 2007 17:06 joohyunee wrote: thanks FA =) i browsed through FiFo just now and i can't seem to find anything interesting other than the one that you requested from zil. i'll try and keep my eyes peeled to see if i find anything interesting
On May 19 2007 17:06 joohyunee wrote: thanks FA =) i browsed through FiFo just now and i can't seem to find anything interesting other than the one that you requested from zil. i'll try and keep my eyes peeled to see if i find anything interesting
I mean...you can do it -_-
all right i'll do it then =p i have like NOTH?ING to do right now... just finished jr.prom last night so i'm pretty much done with everything =p
On May 19 2007 17:06 joohyunee wrote: thanks FA =) i browsed through FiFo just now and i can't seem to find anything interesting other than the one that you requested from zil. i'll try and keep my eyes peeled to see if i find anything interesting
I mean...you can do it -_-
all right i'll do it then =p i have like NOTH?ING to do right now... just finished jr.prom last night so i'm pretty much done with everything =p
hehehe you're such a pimp
Any interesting interviews available for me to translate?
I didn't have a KSSN so i said i was under 14 so it would let me register. I really do hate how they make korean citizens only able toplay these games...
i'd like to translate something, is there anything i could do? any request? i'm asking because i am not up do date what has already been done or has already been taken on by someone~
I am always interested to hear what Ra has to say. I have made few requests here and there for rA`s interviews, but no one translated. So if you would be so kind ^_^
On May 28 2007 13:22 Red_Dragon wrote: I am always interested to hear what Ra has to say. I have made few requests here and there for rA`s interviews, but no one translated. So if you would be so kind ^_^
사단법인 한국e스포츠협회(회장 김신배, www.e-sports.or.kr)는 5월29일(화)부로 STX SouL 소속이었던 한승엽(22) 선수가 한빛 Stars으로 이적했음을 발표했다.
STX SouL 김은동 감독은 한승엽 선수의 영입을 원하는 게임단을 찾기 위해 수차례 게임단 관계자들과 접촉을 해왔고, 최근 테란 선수 영입 의지가 있었던 한빛 Stars와 뜻이 맞아 한승엽 선수의 이적을 결정하게 됐다. 테란 카드의 필요성이 절실했던 한빛 Stars는 한승엽 선수를 받아들이게 됨으로써 전체 팀 전력의 향상을 도모하게 됐다.
Please Translate, it is about Yooi moving to Hanbitstars.
ehhh gosh i hate school comps T_T I translated and it got screwed up again T_T
it basically says KeSPA announced that Yooi is moving to Hanbit. He'd been looking for a team to transfer to and Hanbit took him in b/c they really needed a decent terran player. Hanbit's terran lineup is slightly improved now.
On June 03 2007 22:40 wanderer wrote: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saying 임요환 생각하는 김승희 and saying 임요환은 김승희 생각하다?
I may be wrong, but I would think the 2nd one is the correct way of saying. Please note: I'm only basing this on the fact that the sentence structure would be that way in Korean. I could be terribly wrong.
On June 03 2007 22:40 wanderer wrote: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saying 임요환 생각하는 김승희 and saying 임요환은 김승희 생각하다?
I may be wrong, but I would think the 2nd one is the correct way of saying. Please note: I'm only basing this on the fact that the sentence structure would be that way in Korean. I could be terribly wrong.
yeah, sorry but you're wrong lol
the first one means something to the extent of "lim yo hwan's opinion of kim seunghui", whereas the 2nd one means "lim yo hwan thinks of kim seunghui"
"actually, this guy (commentator) is not really here" but the way he wrote the sign is actually a pun on midas, because midas once in an interview pronounced a word very wrong, and that got pretty famous
"ah! could this be HAHA hyung?" haha is a korean comedian who supposedly looks like the commentator on the right
"with that beard you became HAHA-SEUNGWON" seungwon is the commentators real name, its a common joke in korea to mixup names together to give funny meanings
"lets fly higher ACE" this is the literal translation. it means something like: lets go for it, lets do it, just do it, lets go further.. in addition to that: fly + airforce.. get the hint? : )
in the video they ask him why always doesnt say much, and he answers: actually i do talk a lot, but then later they ask him something and he just answers with 2 words.
On June 08 2007 05:20 KizZBG wrote: CJ getting another sponsor?
to translate it thoroughly i would have to look up lots of words and i dont wanna do that now, but generally it says that CJ Entus opened a 2nd squad and got a new place were they can live and train.
On June 08 2007 05:20 KizZBG wrote: CJ getting another sponsor?
to translate it thoroughly i would have to look up lots of words and i dont wanna do that now, but generally it says that CJ Entus opened a 2nd squad and got a new place were they can live and train.
-하루에 2승을 거뒀다. 얼마만인가. ▶2승을 거둔 것은 까마득히 오래 전 이야기라 잘 기억도 나지 않는다. 오늘 2승을 거두기는 했지만 팀을 생각한다면 한 선수가 두 경기에 출전해서 이기는 것은 그리 바람직하지 않다. 각자 분담해서 1승씩해서 승리해야 더욱 시너지 효과가 난다. 이영호 선수와의 경기에서 동료가 밀어줘서 나가게 됐지만 앞으로는 승리를 나눠 갖고 싶다.
-강 민과의 경기에서 도박적인 치즈 러시를 시도했다. ▶ 준비를 많이 했다. 여러 번의 시행 착오와 검증을 거친 전략이다. 상대가 더블 넥서스를 하지 않더라도 2배럭에서 바이오닉 병력을 모으면서 치즈 러시를 하려고 했다. 더블 넥서스를 했을 경우 6~70% 승리했다. 강 민 선수라서 5할 정도의 승률을 예상했지만 더블 넥서스를 해줘서 좀더 수월하게 이긴 것 같다.
-이영호와 원숭이 띠로, 띠동갑이다. ▶세월이 빨리 흐르는 것 같다. 고참 선수들이 나이 어린 선수들에게 진다면 다른 선수에게 패할 때보다 충격이 크다. 더 빨리 잊혀진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그래서 오늘 경기하면서도 이 악물고 열심히 했다. 잊혀지고 싶지 않다.
-이영호의 최근 분위기가 매우 좋았다. ▶ 잘한다는 이야기는 들었지만 붙어본 적이 없기 때문에 자신감을 갖고 경기했다. 이영호 선수처럼 전적이 많지 않은 상대는 어떤 패턴을 갖고 있는지 모르기 때문에 부담이 크다. 그래서 어린 선수들이나 갓 데뷔한 선수들에게는 패하지 않고 싶다. 상대 전적에서 뒤지면 앞으로의 선수 생활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다른 선수들에게 지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빼앗기는 것 같은 느낌을 준다. 차라리 강 민에게 지는 것이 이영호에게 지는 것보다 낫다(웃음).
-위험한 순간도 있었다. ▶11시에 확장기지를 가져간 지 얼마되지 않아 파괴돼 이대로 흘러간다면 질 것 같았다. 내가 어떻게 이겼는지 모르겠다 .어느 순간 '내가 유리한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주도권을 잃지 않는데 주력했다. 드롭십이 쌓일 경우 주도권 싸움에서 지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9시 확장을 늦게 발견한 것도 그런 이유다. 상대 병력의 이동 경로나 빈 곳을 찾기 위해 신경을 집중했다. 사실 엔지니어링 베이가 어디 있는지 기억도 나지 않았다(웃음).
-이겼다고 생각한 순간은. ▶마지막에 본진 팩토리 지역을 장악했을 때 유리하다고 생각했다. 그런데도 물량이 생각 밖으로 많이 나왔고, 11시와 1시도 타격을 입었다. 11시에 온 대규모 탱크를 막으면서 이겼다고 생각했다.
-테란전 8연패를 끊었다. ▶ 공군 에이스 선수들은 2~3개월 동안 훈련을 받는다. 그 기간 동안 유행하는 전략이나 운영 같은 것을 따라잡기가 어렵다. 테란전 뿐만 아니라 저그전이나 프로토스전도 트렌드가 많이 바뀌었다. 나도 느끼는데 다른 선수들은 느끼지 못하겠는가. 이러한 갭을 메우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다.
-정철하 감독 대행이 오늘 경기를 끝으로 감독직을 내놓는다. ▶초대 감독으로서 잘 이끌어 주셨고, 이를 발판 삼아 에이스가 승승장구하는 모습을 보여 드리겠다. 앞으로 입대하는 후배들에게도 좋은 선배가 될 수 있도록 더 나은 환경과 실력을 갖추도록 하겠다.
-이영호에게 해주고 싶은 이야기가 있다면. ▶초반 운영이 좋아서 크게 당황했다. 이영호 선수가 앞으로 중요한 무대에 오르면서 경험을 쌓는다면 뛰어난 선수로 거듭날 수 있을 것 같다.
-팬들에게 한 마디. ▶ 나도 승리에 목 말랐다. 팬 여러분들도 나 이상으로 내가 이기는 모습을 보고 싶었을 것이다. 들쭉날쭉한 모습 말고, 계속해서 이기는 모습 보여드리고 싶다. 전기리그는 공군 에이스의 기초를 다지는 리그이고, 후기리그부터는 확실히 변한 모습을 보여드리고 싶다.
-저글링처럼 탱크를 많이 뽑았다. ▶ 초반부터 벌처 싸움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빌드 오더를 준비했다. 고인규 선수가 레이스를 생산하길래 마인으로 조인 뒤 탱크를 주력으로 생산하면 불리할 것이 없다고 생각했다. 마인으로 모든 맵을 밝혀 놓았기 때문에 신속하게 움직임을 체크할 수 있었던 것이 승리의 원동력이었다.
-이겼다고 생각한 타이밍은 언제였나. ▶6시에 확장을 허용하고 상대 탱크가 12시 터렛을 공격했을 때 위기라고 생각했다. 고인규 선수가 드롭십도 많았기 때문에 만약 12시를 빼앗긴다면 질 수도 있었다. 내가 드롭십을 모은 뒤 1시를 공격하기 시작하면서 승기가 넘어왔다고 생각했다.
-모든 팩토리에 애드온을 달면서 탱크를 여럿 생산했다. ▶ 팩토리는 꾸준히 두 개씩 늘렸다. 지오메트리가 의외로 개스가 빨리 소진된다. 온리 탱크를 구사하면 미네랄이 많이 남기 때문에 벌처를 다수 생산해야 한다. 그러다보니 실제로 미네랄이 70000까지 남은 경우도 있었다. 인구수가 200이 유지되면 개스가 3~4000씩 남으니까 모든 팩토리에 애드온을 달고 탱크를 뽑았다. 1시 공략이 성공한 뒤에는 멋진 모습을 보여주고 싶은 생각도 있었다.
-SK텔레콤 테란들에게 강하다. ▶내 기억으로는 오늘 경기까지 7대1로 앞서고 있다. 전적에 크게 신경 쓰는 편은 아닌데 내가 T1 테란들에게 강한 것 같다. SK텔레콤에는 유려한 커리어를 갖고 있는 선수들이 많기 때문에 자주 경기를 보고 많이 따라하고, 해법을 찾다 보니까 T1 테란들에게 맞춰갈 수 있는 베이스가 깔린 것 같다. 그래서 플레이를 예측하기 쉽다.
-세리머니 아이디어는 어떻게 구했나. ▶카페에서 세리머니 공모를 하는데 딱 한 개가 올라왔다. 코미디 프로그램인 웃찾사에서 나오는 퐁퐁퐁이라는 것이라고 한다. 세리머니 동작으로 추천하는 동영상 게시물 가운데 그 게시물만은 '성은 선수 이 세리머니를 채택해 주세요'와 같은 멘트가 없이 동영상만 있었다. 그 포스에 굴복하고 말았다. 세리머니 연습은 경기장에 와서 했다. 3세트가 진행 중일 때 대기실에서 휴대폰에 녹화된 영상을 보면서 준비했다.
-세리머니를 하면서도 표정이 없다. ▶주위 사람들로부터 표정이 굳었다는 지적을 많이 받았다. 많은 사람들이 나에게 웃으라고 이야기를 했는데 본능인 것 같다. 웃으려는 노력은 열심히 하고 있다.
-목표나 각오가 있다면. ▶2007년 승률 부문에서 가장 위에 서고 싶다. 이영호 선수, 진영수 선수 다음에 내가 있더라. 앞으로 두 명이 남아 있으니까 열심히 한다면 언젠가는 상위권에 오르지 않겠나.
-정말 오랜만의 개인전 승리다. ▶ 오랜만에 개인전에서 승리하니까 기분도 굉장히 좋다. 첫 세트에 나와서 승리로 시작했기 때문에 팀 분위기도 좋게 시작할 수 있었고, 내 자신도 기분이 좋았던 것 같다. 연습할 때 팀 내에서 변길섭, 강정우, 이영호 선수가 많이 도와줬다. 이영호가 요새 윤열이가 쓰는 빌드에 대해 조언을 해줬다. 도움이 많이 됐다.
-이윤열과의 경기도 오랜만이었는데. ▶원래는 공군전 타우크로스에 나가기로 돼 있었는데, 갑자기 엔트리가 변경돼서 팬택전에 나가게 됐다. 상대가 윤열이로 정해지자 감독님이 "미안하다"하시더라(웃음). 상대가 상대이니만큼 힘든 경기가 될 것이라 생각했지만 그래도 이기고 싶은 마음이 더욱 컸기 때문에 연습을 열심히 했다. 스타일 잘 아는 선수니까 VOD 보고 연구하며 그에 맞춰 내 빌드를 많이 바꿨다. 내가 실수하지 않으면 이길 수 있다는 확신으로 게임했고, 자신감으로 밀어붙였다.
-몰래멀티 전략을 일찍 들켰는데. ▶윤열이가 너무 빨리 발견했지만 그게 오히려 윤열이에게 독이 됐다. 나중에 압박하러 오면 내가 방어타워를 건설해야 하는데 윤열이가 몰래 배럭을 건설하며 꾀를 부려서 내가 타격없이 막을 수 있었다. 멀티를 보는 순간 윤열이가 압박감을 많이 느낀 것 같다.
-같은 시간에 임요환도 승리한 것을 알고 있나. ▶ 그랬나. 요환이형도 잘하고 있으니 같은 올드 게이머로서 기쁘다. 공군이나 올드 게이머들이 승리하는 모습을 볼 때마다 많이 자극을 받는다. 특히 최인규 선수가 이겼을 때 정말 자극을 많이 받았다. 나도 정말 열심히 해서 이기는 모습을 보여드려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나도 타 게이머들에게 이런 감동이나 자극제가 될 수 있는 선수가 되고 싶다.
-그간 팀플레이에 좀더 치중했었는데 이번 시즌은 좀 다르다. ▶ 팀플레이를 많이 했지만 내가 개인전 욕심이 좀 많았다. 팬들 역시 내가 개인전에 나오기를 바라는 분들이 많았기 때문에 내가 개인전에서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어떤 책임감같은 것도 들었다. 임재덕 선수가 팀에 들어오면서 팀플레이 전담이 아니라 개인전도 해볼 여유가 생겼다. 임재덕 선수가 그만큼 팀플레이에서 센스도 좋고 잘 해줘서 완전히 맡길 수 있다. 물론 앞으로도 팀플레이와 개인전 모두 다 출전할 수 있다.
-상위권이 눈앞이다. ▶팀원 모두가 우승해야 한다는 한마음으로 전부 열심히 하고 있고 그만큼 열정들이 대단하다. 앞으로 남은 경기를 모두 이겨서 결승에 오르고 싶다.
-팬들에게 한마디 남긴다면. ▶ 무슨 말로 시작해야할 지 모르겠다. 팬 여러분들에게 내가 이기는 모습을 보여드리고, 기쁘게 해드릴 수 있어서 좋다. 앞으로는 더 많이 이기는 모습 보여드리고, 홍진호의 팬이라는 것이 자랑스럽도록, 자신있게 활동할 수 있도록 해 드리고 싶다.
-정말 오랜만의 개인전 승리다. ▶ 오랜만에 개인전에서 승리하니까 기분도 굉장히 좋다. 첫 세트에 나와서 승리로 시작했기 때문에 팀 분위기도 좋게 시작할 수 있었고, 내 자신도 기분이 좋았던 것 같다. 연습할 때 팀 내에서 변길섭, 강정우, 이영호 선수가 많이 도와줬다. 이영호가 요새 윤열이가 쓰는 빌드에 대해 조언을 해줬다. 도움이 많이 됐다.
-이윤열과의 경기도 오랜만이었는데. ▶원래는 공군전 타우크로스에 나가기로 돼 있었는데, 갑자기 엔트리가 변경돼서 팬택전에 나가게 됐다. 상대가 윤열이로 정해지자 감독님이 "미안하다"하시더라(웃음). 상대가 상대이니만큼 힘든 경기가 될 것이라 생각했지만 그래도 이기고 싶은 마음이 더욱 컸기 때문에 연습을 열심히 했다. 스타일 잘 아는 선수니까 VOD 보고 연구하며 그에 맞춰 내 빌드를 많이 바꿨다. 내가 실수하지 않으면 이길 수 있다는 확신으로 게임했고, 자신감으로 밀어붙였다.
-몰래멀티 전략을 일찍 들켰는데. ▶윤열이가 너무 빨리 발견했지만 그게 오히려 윤열이에게 독이 됐다. 나중에 압박하러 오면 내가 방어타워를 건설해야 하는데 윤열이가 몰래 배럭을 건설하며 꾀를 부려서 내가 타격없이 막을 수 있었다. 멀티를 보는 순간 윤열이가 압박감을 많이 느낀 것 같다.
-같은 시간에 임요환도 승리한 것을 알고 있나. ▶ 그랬나. 요환이형도 잘하고 있으니 같은 올드 게이머로서 기쁘다. 공군이나 올드 게이머들이 승리하는 모습을 볼 때마다 많이 자극을 받는다. 특히 최인규 선수가 이겼을 때 정말 자극을 많이 받았다. 나도 정말 열심히 해서 이기는 모습을 보여드려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나도 타 게이머들에게 이런 감동이나 자극제가 될 수 있는 선수가 되고 싶다.
-그간 팀플레이에 좀더 치중했었는데 이번 시즌은 좀 다르다. ▶ 팀플레이를 많이 했지만 내가 개인전 욕심이 좀 많았다. 팬들 역시 내가 개인전에 나오기를 바라는 분들이 많았기 때문에 내가 개인전에서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어떤 책임감같은 것도 들었다. 임재덕 선수가 팀에 들어오면서 팀플레이 전담이 아니라 개인전도 해볼 여유가 생겼다. 임재덕 선수가 그만큼 팀플레이에서 센스도 좋고 잘 해줘서 완전히 맡길 수 있다. 물론 앞으로도 팀플레이와 개인전 모두 다 출전할 수 있다.
-상위권이 눈앞이다. ▶팀원 모두가 우승해야 한다는 한마음으로 전부 열심히 하고 있고 그만큼 열정들이 대단하다. 앞으로 남은 경기를 모두 이겨서 결승에 오르고 싶다.
-팬들에게 한마디 남긴다면. ▶ 무슨 말로 시작해야할 지 모르겠다. 팬 여러분들에게 내가 이기는 모습을 보여드리고, 기쁘게 해드릴 수 있어서 좋다. 앞으로는 더 많이 이기는 모습 보여드리고, 홍진호의 팬이라는 것이 자랑스럽도록, 자신있게 활동할 수 있도록 해 드리고 싶다.
-듀얼토너먼트 진출에 성공했다. ▶올라간 것은 기쁘지만 오늘 경기 내용이 깔끔하지 못해 아쉽다. 첫 경기에서 상대에게 속아 너무 바보같이 플레이했고, 패자전도 굉장히 유리했는데 그때 끝내려고 병력을 들이붓다가 질 뻔 했다. 앞으로는 유리하다고 방심하지 않고 플레이해야겠다.
-저글링을 좋아하는 편인데. ▶저그라면 누구나 다 쓰는 유닛인데 내가 특별히 좋아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기본유닛이기 때문에 저글링으로 이득을 보면 나중에 고급 유닛이 나올때 더 유용하게 쓸 수 있다. 그래서 저글링을 더 많이 활용하려고 한다.
-마린을 두려워하지 않는 뮤탈 컨트롤이 돋보였다. ▶원래 연습 때는 안 통하는데 대회때는 다 통하더라. 연습 때는 팀원들에게 다 막힌다. 하지만 대회 때는 누구와 경기를 하게 되더라도 뮤탈리스크를 쓸 생각이다. 어차피 알아도 막기 힘든 것은 마찬가지 아닌가.
-4번 시드를 받을 수 없어 아쉬울 것 같다. ▶일정 면에서는 더 수월해졌다. 1위로 올라갔다면 앞으로 계속 시드결정전 등을 치러야 했을 텐데 2위로 올라가서 듀얼토너먼트 한 번만 하면 된다. 4번 시드를 받을 수 없게 된 것은 아쉽지만 좋게 생각하려 한다.
-스타리그 복귀가 눈앞이다. ▶ 내 주 무대였던 스타리그이고, 이번에 올라가면 10번째다. 임요환 선수가 질레트 스타리그에서 떨어지며 스타리그 연속 출전 기록이 깨진 뒤 EVER 스타리그 2004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나도 이번에 떨어졌다가 다시 올라가니까 그 수순을 밟고 싶다. 단, 준우승이 아닌 우승으로 마무리하겠다.
JulyZerg interview after barely advancing to the Dual Tournament.
-3승으로 8강에 올랐다. ▶아직 갈 길이 많이 남았다. 지금까지 팬들에게 좋은 모습을 보여드린 것 같아서 만족한다. 8강에서도 좋은 경기를 펼쳐 내가 목표로 한 4강에 가고 싶다. 만약 4강에 가면 목표는 당연히 우승으로 바뀔 것이다.
-힘들게 승리를 거뒀다. ▶ 앞선 2경기와 달리 실수를 너무 많이 했다. 특히 처음부터 넥서스를 잘못 지었다. 클릭하다가 넥서스를 한 칸 옆에 짓는 바람에 가스 뿐만 아니라 미네랄 채취까지 상당한 손해를 봤다. 특히 스톱 럴커가 뼈아팠다. 옵저버를 대동하지 않아 럴커에 너무 많이 피해를 입었다. 보통 프로토스를 상대로 스톱 럴커를 하지 않기 때문에 미처 생각하지 못했다.
-언제 승리를 예감했나. ▶지속적으로 견제를 해 준 게 승리의 요인인 것 같다. 후반에 다크 템플러로 다수의 드론을 잡아내며 이길 수 있다고 생각했다.
-예전에 머큐리에서 홍진호와 맞붙었던 경기와 비교하면 어느 경기가 힘들었나. ▶이 경기도 힘들었지만 진호형과의 경기가 더 힘들었다. 그 때는 이길 수 없다고 생각하고 마지막 한 타 싸움을 했는데 뚫어내며 힘들게 이길 수 있었다.
-패할 것 같다는 생각은 하지 않았나. ▶경기 중에 그런 생각도 했었다. 내가 병력을 모으지 않고 급하게 싸우다 보니 병력을 계속 잃었다. 자원은 많았는데 병력이 없어서 위험하다고 생각했다.
-누구와 연습했나. ▶같은 팀의 박준우, 배병우, 정명호, 고강민 외에도 나머지 저그 유저들과 연습했다. 밤 늦게까지 도와줘서 정말 고맙다.
-최근 임요환, 홍진호 등 올드 게이머들의 부활이 돋보인다. ▶ 비슷하게 프로게이머를 시작하고 지금까지도 게임을 하고 있기 때문에 감회가 남다르다. 진호형의 경우 한동안 침체돼 있었는데 최근 프로리그에서 이겨 너무 기뻤다. 꼭 이겨주길 바랬다. 인규형이 이겼을 때도 좋았다. 물론 요환이형이 영호를 이겼을 때는 안 좋았다(웃음). 올드 게이머도 중요하지만 팀이 더 중요하다.
-누구를 만나면 편할 것 같나. ▶영호를 피하고 싶다. 같은 팀이기도 하지만 확실히 잘하기 때문에 만나고 싶지 않다. 나머지 선수들은 큰 상관없다.
-이영호에 대해 한 마디. ▶지금도 잘하고 있고 앞으로도 잘할 선수다. 다만 잘할 때 계속 잘해야 최고의 자리에 오를 수 있다. 어느 정도 위치에 올랐다고 만족하면 안된다.
-최근 신예들의 약진이 돋보인다. 고참으로 그 선수들에게 조언을 해 준다면. ▶그런 기회가 흔치않다. 기회가 자주 찾아오지 않기 때문에 게임이 잘 될 때 더 열심히 해야 한다. 자기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열심히 해야 한다. 자기 만족만 하지 않는다면 롱런할 수 있을 것 같다.
-팬들에게 한 마디. ▶내가 저그전은 꼭 이기겠다고 말했는데 그 약속을 지킬 수 있게 돼 너무 기쁘다. 보는 입장에서는 어떤지 모르겠지만 완벽한 경기는 아니었다. 그래도 재미있게 보셨다니 만족한다. 다음에는 완성도는 물론 질 높은 경기를 하겠다.
-3승으로 8강에 올랐다. ▶아직 갈 길이 많이 남았다. 지금까지 팬들에게 좋은 모습을 보여드린 것 같아서 만족한다. 8강에서도 좋은 경기를 펼쳐 내가 목표로 한 4강에 가고 싶다. 만약 4강에 가면 목표는 당연히 우승으로 바뀔 것이다.
-힘들게 승리를 거뒀다. ▶ 앞선 2경기와 달리 실수를 너무 많이 했다. 특히 처음부터 넥서스를 잘못 지었다. 클릭하다가 넥서스를 한 칸 옆에 짓는 바람에 가스 뿐만 아니라 미네랄 채취까지 상당한 손해를 봤다. 특히 스톱 럴커가 뼈아팠다. 옵저버를 대동하지 않아 럴커에 너무 많이 피해를 입었다. 보통 프로토스를 상대로 스톱 럴커를 하지 않기 때문에 미처 생각하지 못했다.
-언제 승리를 예감했나. ▶지속적으로 견제를 해 준 게 승리의 요인인 것 같다. 후반에 다크 템플러로 다수의 드론을 잡아내며 이길 수 있다고 생각했다.
-예전에 머큐리에서 홍진호와 맞붙었던 경기와 비교하면 어느 경기가 힘들었나. ▶이 경기도 힘들었지만 진호형과의 경기가 더 힘들었다. 그 때는 이길 수 없다고 생각하고 마지막 한 타 싸움을 했는데 뚫어내며 힘들게 이길 수 있었다.
-패할 것 같다는 생각은 하지 않았나. ▶경기 중에 그런 생각도 했었다. 내가 병력을 모으지 않고 급하게 싸우다 보니 병력을 계속 잃었다. 자원은 많았는데 병력이 없어서 위험하다고 생각했다.
-누구와 연습했나. ▶같은 팀의 박준우, 배병우, 정명호, 고강민 외에도 나머지 저그 유저들과 연습했다. 밤 늦게까지 도와줘서 정말 고맙다.
-최근 임요환, 홍진호 등 올드 게이머들의 부활이 돋보인다. ▶ 비슷하게 프로게이머를 시작하고 지금까지도 게임을 하고 있기 때문에 감회가 남다르다. 진호형의 경우 한동안 침체돼 있었는데 최근 프로리그에서 이겨 너무 기뻤다. 꼭 이겨주길 바랬다. 인규형이 이겼을 때도 좋았다. 물론 요환이형이 영호를 이겼을 때는 안 좋았다(웃음). 올드 게이머도 중요하지만 팀이 더 중요하다.
-누구를 만나면 편할 것 같나. ▶영호를 피하고 싶다. 같은 팀이기도 하지만 확실히 잘하기 때문에 만나고 싶지 않다. 나머지 선수들은 큰 상관없다.
-이영호에 대해 한 마디. ▶지금도 잘하고 있고 앞으로도 잘할 선수다. 다만 잘할 때 계속 잘해야 최고의 자리에 오를 수 있다. 어느 정도 위치에 올랐다고 만족하면 안된다.
-최근 신예들의 약진이 돋보인다. 고참으로 그 선수들에게 조언을 해 준다면. ▶그런 기회가 흔치않다. 기회가 자주 찾아오지 않기 때문에 게임이 잘 될 때 더 열심히 해야 한다. 자기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열심히 해야 한다. 자기 만족만 하지 않는다면 롱런할 수 있을 것 같다.
-팬들에게 한 마디. ▶내가 저그전은 꼭 이기겠다고 말했는데 그 약속을 지킬 수 있게 돼 너무 기쁘다. 보는 입장에서는 어떤지 모르겠지만 완벽한 경기는 아니었다. 그래도 재미있게 보셨다니 만족한다. 다음에는 완성도는 물론 질 높은 경기를 하겠다.
this would be a ridicoulous amount of work. subtitling a video is a lot more pain than just translating an interview, i doubt that will happen.
i would be willing to translate a small part of it, if others would join for some kind of project. i have no experience on how to hardsub a video though.
deverlight did the subtitles for the whole 1st episode of starbrain (only the players tho, not the obs, which is fine). he didn't even seem to know how to do subtitles before he started. but apparently he's not around for the second episode. T_T
Well, I'd be willing to work with you guys in this translation team here if you wanna join in translating whatever this starbrain thing is. Fill me in on the details though, since I have no idea what's going on with this right now.
Could you explain why the commentators can't hold themselves from laughing here :-) Thanks.
Edit: ok it was now translated by tenishotshot, thanks :-)
The set was really long for these guys on the show. So, they needed to say more, but they simply didn't have more things to say.
So, the senior said: "Do I even need to say such things?" [laugh] Castor: "Since this is such a long broadcast, we'll take a break and take things from there."
Senior: "Ah, there's nothing to talk about!" Junior: "But still, we still need to talk!"
this would be a ridicoulous amount of work. subtitling a video is a lot more pain than just translating an interview, i doubt that will happen.
i would be willing to translate a small part of it, if others would join for some kind of project. i have no experience on how to hardsub a video though.
I have subtitled two VODs. They both took about 1 hour each. Too much time....
Unless we're getting paid, something like that cannot be done on a regular basis, since most of these guys don't have experience with subtitling.
On June 16 2007 14:10 ilovezil wrote: Well, I'd be willing to work with you guys in this translation team here if you wanna join in translating whatever this starbrain thing is. Fill me in on the details though, since I have no idea what's going on with this right now.
um.. lemme set something up with the translation team and i'll get things together.
It's almost summer for me so if you give me a small part to do for the StarBrain show, I'm willing to do it. I love that show ^_^ It's almost scary what experienced players know based on the things they see and the way they react according to their limited information. Throughout all the games, I was just going "wow..."
If you get on this, PM me with a part. It'd be interesting to try this =)
-3승으로 8강에 올랐다. ▶아직 갈 길이 많이 남았다. 지금까지 팬들에게 좋은 모습을 보여드린 것 같아서 만족한다. 8강에서도 좋은 경기를 펼쳐 내가 목표로 한 4강에 가고 싶다. 만약 4강에 가면 목표는 당연히 우승으로 바뀔 것이다.
-힘들게 승리를 거뒀다. ▶ 앞선 2경기와 달리 실수를 너무 많이 했다. 특히 처음부터 넥서스를 잘못 지었다. 클릭하다가 넥서스를 한 칸 옆에 짓는 바람에 가스 뿐만 아니라 미네랄 채취까지 상당한 손해를 봤다. 특히 스톱 럴커가 뼈아팠다. 옵저버를 대동하지 않아 럴커에 너무 많이 피해를 입었다. 보통 프로토스를 상대로 스톱 럴커를 하지 않기 때문에 미처 생각하지 못했다.
-언제 승리를 예감했나. ▶지속적으로 견제를 해 준 게 승리의 요인인 것 같다. 후반에 다크 템플러로 다수의 드론을 잡아내며 이길 수 있다고 생각했다.
-예전에 머큐리에서 홍진호와 맞붙었던 경기와 비교하면 어느 경기가 힘들었나. ▶이 경기도 힘들었지만 진호형과의 경기가 더 힘들었다. 그 때는 이길 수 없다고 생각하고 마지막 한 타 싸움을 했는데 뚫어내며 힘들게 이길 수 있었다.
-패할 것 같다는 생각은 하지 않았나. ▶경기 중에 그런 생각도 했었다. 내가 병력을 모으지 않고 급하게 싸우다 보니 병력을 계속 잃었다. 자원은 많았는데 병력이 없어서 위험하다고 생각했다.
-누구와 연습했나. ▶같은 팀의 박준우, 배병우, 정명호, 고강민 외에도 나머지 저그 유저들과 연습했다. 밤 늦게까지 도와줘서 정말 고맙다.
-최근 임요환, 홍진호 등 올드 게이머들의 부활이 돋보인다. ▶ 비슷하게 프로게이머를 시작하고 지금까지도 게임을 하고 있기 때문에 감회가 남다르다. 진호형의 경우 한동안 침체돼 있었는데 최근 프로리그에서 이겨 너무 기뻤다. 꼭 이겨주길 바랬다. 인규형이 이겼을 때도 좋았다. 물론 요환이형이 영호를 이겼을 때는 안 좋았다(웃음). 올드 게이머도 중요하지만 팀이 더 중요하다.
-누구를 만나면 편할 것 같나. ▶영호를 피하고 싶다. 같은 팀이기도 하지만 확실히 잘하기 때문에 만나고 싶지 않다. 나머지 선수들은 큰 상관없다.
-이영호에 대해 한 마디. ▶지금도 잘하고 있고 앞으로도 잘할 선수다. 다만 잘할 때 계속 잘해야 최고의 자리에 오를 수 있다. 어느 정도 위치에 올랐다고 만족하면 안된다.
-최근 신예들의 약진이 돋보인다. 고참으로 그 선수들에게 조언을 해 준다면. ▶그런 기회가 흔치않다. 기회가 자주 찾아오지 않기 때문에 게임이 잘 될 때 더 열심히 해야 한다. 자기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열심히 해야 한다. 자기 만족만 하지 않는다면 롱런할 수 있을 것 같다.
-팬들에게 한 마디. ▶내가 저그전은 꼭 이기겠다고 말했는데 그 약속을 지킬 수 있게 돼 너무 기쁘다. 보는 입장에서는 어떤지 모르겠지만 완벽한 경기는 아니었다. 그래도 재미있게 보셨다니 만족한다. 다음에는 완성도는 물론 질 높은 경기를 하겠다.
Also, the 2nd part of this video, is the ending clip of Iris-Stork semi-finals broadcast, with some words from both players before the games, would be great if it was translated :-)
That first commercial is a remake of those adidas commercials you might now, like those:
Anyway, it goes (a little) something like this:
Hello, I am Kim Keri(?). This is my story. Sometimes I still think about my curse. It would have been good If I just hadn't said anything, I really wish. Everywhere I went people were giving me these sharp looks, as if the results of the games were my fault. But then finally, when Nada won the golden mouse, my curse was lifted. Although Anytime lost and my love "Carrier" wasn't in the spotlight, my prediction came true. I say this only to you, but without Carriers it's really hard after all. Kim Keri's curse is nothing. (impossible is nothing).
That guy is one of OGN's commentators, his name is Kim Tae Hyung. The fans always mock him because he's in love with Carriers and always used to insist that the only way for a P player to win was with Carriers. So, he got the nickname of Kim Kaeri (as in Kae-Ri-Uh, Carrier with a Korean accent)
And some of you guys might remember him from the early, early days of SC. His ID was Rainbow[ROKA].
혁 명이란 말은 역사를 바꾼다는 뜻을 담고 있다. 그동안 프로토스가 주연으로 활약하지 못했던 MSL의 역사를 김택용이 갈아 치웠다. MSL에 참가한 프로토스 사상 처음으로 2회 연속 결승 진출을 달성한 데 이어 2회 연속 우승까지도 개척함으로써 ‘혁명가’의 이름을 만방에 알렸다. MSL의 역사를 다시 쓰면서 ‘혁명가’의 입지를 탄탄하게 다진 김택용과 우승 인터뷰를 나눴다.
-MSL 2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소감은. ▶멀게만 느껴졋던 32강이었는데 한 경기씩 올라가다 보니 우승이라는 자리까지 다시 올랐다. 감격스럽고, 벅차다. 2회 우승의 부담이 컸지만 털어내고 나니 홀가분하다.
-지난 대회 우승 때와 지금의 감정을 비교해 본다면. ▶그 때는 메이저 대회에 두 번째 오르는 신인이다 보니까 내가 상대하는 선수들마다 어려웠다. 이번 시즌은 조금 쉽게 올라 온 것 같다. 그렇지만 이번 결승전은 매우 힘들었다.
-지금 가장 생각나는 사람은 누구인가. ▶ 연습 도와준 선수들이 생각난다. MBC게임 히어로 동료들 모두에게 고맙고, 박정석, 장주현, 박세정, 신상호 등 다른 팀 선수들에게도 감사를 드린다. 박용운 코치가 내 연습을 봐주느라 고민 많았다. 전략을 만드는 것은 물론, 숙소에 넘쳐나는 모기를 퇴치해주는 등 컨디션 유지에 도와줬다(웃음). 여러 사람들이 함께 도와줬기 때문에 만들어낸 우승이라 생각한다.
-새 역사를 작성했다는 사실을 아는가. ▶알고 있다. 최초이고, 최연소 2회 우승을 차지한 프로토스다. 정말 기쁘고 좋다. 어리다 보니까 앞으로 이뤄갈 수 있는 기록도 많기 때문에 MSL 징크스인 3회 우승에 최연소로 도전하고 싶고, 4회 우승까지도 달성하고 싶다.
-3대2로 간신히 승리했다. 가장 어려웠던 세트는. ▶3, 4세트가 정말 어려웠다. 1, 2세트는 빌드 오더를 모두 준비해왔지만 3, 4세트는 연습이 부실했다. 3세트 때 즉흥적으로 대응했지만 잘 통했다. 그 덕분에 5세트까지 이끌어 갈 수 있었다.
-이번 시즌 운으로 올라왔다는 이야기가 많다. ▶ 송병구 선수가 드라군의 사거리 업그레이드를 하지 못했다는 이야기를 경기 끝나고 들었다. 결승전까지도 운이 많이 따랐다. 전투를 펼치면서도 계속 패했기 때문에 업그레이드를 하지 않았다는 것을 몰랐다. 나에게는 운이었지만 운도 실력이라 생각한다. 나와는 상관이 없는 상대의 실수였다. 나는 최선을 다했다.
-송병구는 올 시즌 프로리그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는 등 강력한 경쟁자였다. 실제로 상대해보니 어땠나. ▶안정적인 선수라고 생각했지만 전략적인 움직임도 많이 보여줬다. 예상을 벗어난 양상의 경기가 많았다. 송병구 선수의 변신에 당황했던 것이 사실이다. 마지막 5세트 때에는 서로 안전한 전략을 사용했는데 내가 승리했다.
-속으로 생각한 스코어는. ▶3대2는 생각한 적이 없다. 3대0으로 일찍 끝내고 돌아가자고 생각했을 뿐이었다. 1세트에서 쉽게 끝났기 때문에 5세트를 가더라도 내가 유리하다고 생각했다.
-2, 4세트가 전략적인 맵이었다. ▶내가 보기에는 전략적인 맵은 하나도 없었다. 운영을 중심으로 연습을 했는데 결승 현장에서 빌드 오더를 바꾸고 싶은 생각이 들었고, 실제로도 변화를 줬다. 3세트 같은 경우에는 내가 전략을 수정함으로써 승리했다.
-송병구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는. ▶지난 시즌 강 민과의 4강 때 연습 상대가 송병구였다. 이후 프로리그 박영민과의 경기를 준비할 때까지 서로 도와줬다. 프로토스의 시대를 같이 이끌어 갈 동반자라고 생각한다.
-오늘 경기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는. ▶만족스럽다. 연습량도 많았고, 결과도 좋았다. 4세트 몬티홀에서 많이 보여주지 못해 아쉽다.
-앞으로의 목표나 각오는. ▶팬들이 가장 좋아하는 게이머가 되고 싶다. 팬을 위해 색다른 플레이를 보여주고 싶고, 나를 사랑하도록 만들고 싶다. 가끔은 재미없는 경기도 나오겠지만 최대한 색깔 있는 경기를 선보이겠다.
-올 시즌 스카우트를 사용하면서 센세이션을 불러 일으켰다. 다음 유닛은 무엇인가. ▶이번 시즌 스카우트를 자주 활용했는데 스카우트가 최악으로 좋지 않은 유닛이기 때문에 사용했다. 이제 다크 아콘까지 일반화 됐기 때문에 더 이상의 유닛은 없는 것 같다. 그래도 스카우는 뽑고 싶을 때는 뽑겠다(웃음).
-차기 시즌에 대한 각오는. ▶2회 연속 우승을 한 MSL 선수들은 3회 우승을 꼭 달성했다. 이번에 내가 꼭 이어나가고 싶다. 프로토스이다 보니까 어려운 싸움이 되겠지만 팬들의 믿음이 있다면 3회 우승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응원 온 팬들에게 전하고 싶은 말. ▶모두 일어나서 나의 우승을 칭찬해 주시더라. 우승의 느낌이 이런 것이라는 것을 다시 느꼈다. 다음 시즌에도 다시 느껴보고 싶다.
-개인리그에서 가장 많은 상금인 5000만원을 받았다. ▶쓸 곳은 많다. 여러 사람들이 나에게 사달라고 하면 언제든 사주겠다. 동료들에게도 한 턱 쏠 것이고, 도와준 사람들에게도 남는다면 부모님께 모두 드리고 싶다.
-끝으로 하고 싶은 말은. ▶아버지, 어머니, 형 등 가족들과 감독, 코치에게도 공을 돌린다. 애슬릿풋 관계자에게도 고맙다고 이야기하고 싶다. 응원해 주신 팬들에게 가장 감사드린다.
-아들이 2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우리 아들이 최고다. 너무 장하고 자랑스럽다. 경기 전부터 (김)택용이가 우승할 것으로 생각했다.
-우승을 예감한 특별한 이유라도 있나. ▶ 택용이가 다른 선수들에 비해 긴장을 많이 하지 않는다. 결승전이라는 큰 무대에 서면 부담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은데 택용이는 다른 선수들에 비해 부담을 덜 갖는 것 같다. 택용이가 경기 전에도 자신 있다고 이야기했다. 아들을 믿었다.
-경기가 5세트까지 가는 접전이었다. 걱정도 됐을 것 같다. ▶자식 걱정하지 않는 부모가 어디 있겠는가. 게임 도중 어려운 상황도 있었지만 끝까지 아들을 믿고 기다렸고 결국 택용이가 해냈다. 정말 자랑스럽다.
-오늘 저녁은 어떻게 보낼 계획인가. ▶택용이만 시간이 된다면 가족들이 모두 모여 식사라도 함께 하고 싶다. 하지만 택용이 경기가 며칠 후에 또 있어서 시간이 날지 모르겠다. 택용이가 바쁘면 나머지 식구들이라도 모여 택용이의 우승을 축하해야겠다.
-MBC게임 히어로가 프로리그 포스트시즌에 진출해 있다. 프로리그에서도 아들이 우승하기를 바랄 것 같다. ▶물론 프로리그에서도 좋은 성적을 내기를 바란다. MBC게임에는 택용이 말고도 좋은 선수들이 많다. 분명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아들을 아끼는 팬들에게 한마디 한다면. ▶우리 아들을 응원해 주시고 아껴주시는 팬 여러분과 예뻐해 주시는 모든 분들께 감사 드린다. 이루 말로 다 표현할 수 없을 정도다. 죄송스러운 마음까지 든다. 앞으로도 우리 택용이에게 많은 사랑 부탁 드린다.
hello...this is my first interview, and i'm not as fluent in korean as i was a while back, so please correct any mistakes that i have, thanks guys
곰TV 시즌2 결승] MBC게임 김택용 “3회 우승 도전하겠다”
GOM TV Season 2 Finals - MBC Game Kim Taek Young "I will try again for the third finals"
혁 명이란 말은 역사를 바꾼다는 뜻을 담고 있다. 그동안 프로토스가 주연으로 활약하지 못했던 MSL의 역사를 김택용이 갈아 치웠다. MSL에 참가한 프로토스 사상 처음으로 2회 연속 결승 진출을 달성한 데 이어 2회 연속 우승까지도 개척함으로써 ‘혁명가’의 이름을 만방에 알렸다. MSL의 역사를 다시 쓰면서 ‘혁명가’의 입지를 탄탄하게 다진 김택용과 우승 인터뷰를 나눴다.
To have a sudden change also contains within a notion of changing history. The Protoss have not emerged as a dominant force in the history of the MSL, but Kim Taek Young has cast that notion aside. For the first time in MSL history, the Protoss have had appearances in the finals two times in a row, but what's more, they have won twice in a row - Kim Taek Young has made his name "The Revolutionary Protoss" known throughout all the world. Rewriting MSL history, we had a winner's interview with the player now known as "The Revolutionary Protoss."
-MSL 2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소감은. This is the second straight time that you have won in the finals. What are your feelings?
▶멀게만 느껴졋던 32강이었는데 한 경기씩 올라가다 보니 우승이라는 자리까지 다시 올랐다. 감격스럽고, 벅차다. 2회 우승의 부담이 컸지만 털어내고 나니 홀가분하다.
I felt that the Ro32 was very far away (a long way to go), but one game after another, I am now here in the winner's seat. I am in awe, and I am filled with pride. I had a lot of added pressure from winning the MSL for the second straight time, but now that it's over, I feel great.
-지난 대회 우승 때와 지금의 감정을 비교해 본다면. How do you compare last time's finals with this one?
▶그 때는 메이저 대회에 두 번째 오르는 신인이다 보니까 내가 상대하는 선수들마다 어려웠다. 이번 시즌은 조금 쉽게 올라 온 것 같다. 그렇지만 이번 결승전은 매우 힘들었다. At that time, it was the second appearance in a major tournament, all the opponents I've faced were difficult. I felt that this season was a little easier to climb the ladder. But the finals this time around were very difficult.
-지금 가장 생각나는 사람은 누구인가. Right now, who is the person most on your mind?
▶ 연습 도와준 선수들이 생각난다. MBC게임 히어로 동료들 모두에게 고맙고, 박정석, 장주현, 박세정, 신상호 등 다른 팀 선수들에게도 감사를 드린다. 박용운 코치가 내 연습을 봐주느라 고민 많았다. 전략을 만드는 것은 물론, 숙소에 넘쳐나는 모기를 퇴치해주는 등 컨디션 유지에 도와줬다(웃음). 여러 사람들이 함께 도와줬기 때문에 만들어낸 우승이라 생각한다. The people who helped me practice. I am grateful to all of the MBC Game Hero teammates, Reach, Jang Joo Hyun (?), Park Sae Jung (?), Shin Sang Ho (?) etc. and to other team members. Park Yong Oon Coach thought over/helped my practice a lot. Of course, how to plan out my strategy, and get rid of the many mosquitoes back at the team house, essentially helping me to maintain my condition (smiles). A lot of people helped me together so I was able to win, I think.
-새 역사를 작성했다는 사실을 아는가. You have created a new "note" in history. Do you know this fact?
▶알고 있다. 최초이고, 최연소 2회 우승을 차지한 프로토스다. 정말 기쁘고 좋다. 어리다 보니까 앞으로 이뤄갈 수 있는 기록도 많기 때문에 MSL 징크스인 3회 우승에 최연소로 도전하고 싶고, 4회 우승까지도 달성하고 싶다. Yes, I know. It is the first time that the Protoss have won twice in a row. I am really happy and I feel great. Because I'm young, I feel that there is a lot of opportunity later on (more tournaments/prizes and such), I want to break the MSL jinx of only winning three times in a row, but what's more, I want to go for four times in a row.
-3대2로 간신히 승리했다. 가장 어려웠던 세트는. You won 3-2, barely. Which was your most difficult set?
▶3, 4세트가 정말 어려웠다. 1, 2세트는 빌드 오더를 모두 준비해왔지만 3, 4세트는 연습이 부실했다. 3세트 때 즉흥적으로 대응했지만 잘 통했다. 그 덕분에 5세트까지 이끌어 갈 수 있었다. The third, fourth set were the most difficult. The first, second set I prepared my build order well, but my practice for the third and fourth set were not so good. The third set I responded in kind (?), but the result came out well. Because of this, I was able to carry it on to the fifth set.
-이번 시즌 운으로 올라왔다는 이야기가 많다. This season, there is a lot of talk that you got to where you are due to luck.
▶ 송병구 선수가 드라군의 사거리 업그레이드를 하지 못했다는 이야기를 경기 끝나고 들었다. 결승전까지도 운이 많이 따랐다. 전투를 펼치면서도 계속 패했기 때문에 업그레이드를 하지 않았다는 것을 몰랐다. 나에게는 운이었지만 운도 실력이라 생각한다. 나와는 상관이 없는 상대의 실수였다. 나는 최선을 다했다. I heard that Stork was not able to research the dragoon range upgrade after the tournament. Even to the finals, luck followed me there. Even while I was fighting, I kept losing each engagement, so I did not realize that the range upgrade was not complete. It was luck to me, but I think luck is also skill, in some ways. It wasn't anything to do with my fault, it was my opponents' mistake. I did my best.
-송병구는 올 시즌 프로리그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는 등 강력한 경쟁자였다. 실제로 상대해보니 어땠나. Stork is a strong opponent, having a winning record in this season's Proleague. Actually fighting him, what are your thoughts?
▶안정적인 선수라고 생각했지만 전략적인 움직임도 많이 보여줬다. 예상을 벗어난 양상의 경기가 많았다. 송병구 선수의 변신에 당황했던 것이 사실이다. 마지막 5세트 때에는 서로 안전한 전략을 사용했는데 내가 승리했다. I felt he was a safe player, but he showed a lot of strategic insight. He showed many games that would not be normally made (essentially, Stork demonstrated never before thought to occur strategies). To be honest, I was taken aback by Stork's strategy. In the final set, we both opted for safe strategy/planning, but I won.
-속으로 생각한 스코어는. What do you think the outcome could have been? (Or what do you honestly think about the score)
▶3대2는 생각한 적이 없다. 3대0으로 일찍 끝내고 돌아가자고 생각했을 뿐이었다. 1세트에서 쉽게 끝났기 때문에 5세트를 가더라도 내가 유리하다고 생각했다. I never thought about 3-2. I only thought let's go 3-0 finish it early and go home. The first set was easily done, so even though we went to the fifth set, I knew I was in the advantage.
-2, 4세트가 전략적인 맵이었다. The second, fourth set were on more strategically oriented maps.
▶내가 보기에는 전략적인 맵은 하나도 없었다. 운영을 중심으로 연습을 했는데 결승 현장에서 빌드 오더를 바꾸고 싶은 생각이 들었고, 실제로도 변화를 줬다. 3세트 같은 경우에는 내가 전략을 수정함으로써 승리했다. The way I see it, there are no strategically oriented maps. I practiced mostly on a macro build, but at the time of the tournament, I had thoughts of changing my build order, and I did change them. For instance, I won the third set because I utilized strategy more than my opponent.
-송병구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는. Any words to Stork?
▶지난 시즌 강 민과의 4강 때 연습 상대가 송병구였다. 이후 프로리그 박영민과의 경기를 준비할 때까지 서로 도와줬다. 프로토스의 시대를 같이 이끌어 갈 동반자라고 생각한다. Last season, the practice partner I had was Stork in the Ro4 elimination against Nal_rA. After that, my practice partner was Stork again in preparation for my match against Much in the Proleague. I feel that he is also a fellow companion who will create a new era of the Protoss.
-오늘 경기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는. Your personal thoughts on today's matches.
▶만족스럽다. 연습량도 많았고, 결과도 좋았다. 4세트 몬티홀에서 많이 보여주지 못해 아쉽다. I'm satisfied. I practiced a lot, and the results were good. I'm a little sad that I wasn't able to show more on the fourth set, Monty Hall.
-앞으로의 목표나 각오는. Any future goals/determinations?
▶팬들이 가장 좋아하는 게이머가 되고 싶다. 팬을 위해 색다른 플레이를 보여주고 싶고, 나를 사랑하도록 만들고 싶다. 가끔은 재미없는 경기도 나오겠지만 최대한 색깔 있는 경기를 선보이겠다. I would like to be the fans' most favorite gamer. I would like to be totally different, a new player for the fans, and I want them to love me. Sometimes, there may be some boring matches, but to the best of my ability, I want to show matches with a lot of "color."
-올 시즌 스카우트를 사용하면서 센세이션을 불러 일으켰다. 다음 유닛은 무엇인가. You created a sensation this season using scouts. What is your next unit?
▶이번 시즌 스카우트를 자주 활용했는데 스카우트가 최악으로 좋지 않은 유닛이기 때문에 사용했다. 이제 다크 아콘까지 일반화 됐기 때문에 더 이상의 유닛은 없는 것 같다. 그래도 스카우는 뽑고 싶을 때는 뽑겠다(웃음). This season, I did use a lot of scouts because scouts are the worst Protoss unit, in my opinion. Now that Dark Archons have been standardized in play, I don't think there are any more units. But I will utilize scouts the next time I want to use them (smiles).
-차기 시즌에 대한 각오는. Your thoughts on the next season.
▶2회 연속 우승을 한 MSL 선수들은 3회 우승을 꼭 달성했다. 이번에 내가 꼭 이어나가고 싶다. 프로토스이다 보니까 어려운 싸움이 되겠지만 팬들의 믿음이 있다면 3회 우승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The MSL players who won twice in a row have gone on to win for the third time in a row. This time, I would like that player to be me. Since I am Protoss, the fights may be more difficult, but if I have the fans' belief, I believe I can win for the third time in a row.
-응원 온 팬들에게 전하고 싶은 말. A word to your fans who came out tonight.
▶모두 일어나서 나의 우승을 칭찬해 주시더라. 우승의 느낌이 이런 것이라는 것을 다시 느꼈다. 다음 시즌에도 다시 느껴보고 싶다. All of them stood up and began to congratulate me. This is what it feels like to win, I thought again. I would like to experience that next season.
-개인리그에서 가장 많은 상금인 5000만원을 받았다. You received the most prize money ever in an individual league tournament - 500 million (? - correct me if this is wrong) won.
▶쓸 곳은 많다. 여러 사람들이 나에게 사달라고 하면 언제든 사주겠다. 동료들에게도 한 턱 쏠 것이고, 도와준 사람들에게도 남는다면 부모님께 모두 드리고 싶다. There are a lot of places to use this money. If a lot of people ask me to buy something for them, I will buy it for them at any time. I will buy something for my teammates, and after I help the people who helped me, I would like to give the rest to my parents.
-끝으로 하고 싶은 말은. Any last words? ▶아버지, 어머니, 형 등 가족들과 감독, 코치에게도 공을 돌린다. 애슬릿풋 관계자에게도 고맙다고 이야기하고 싶다. 응원해 주신 팬들에게 가장 감사드린다. Father, mother, brother, family, coach, staff, thank you so much. (I'm not sure what this next one is..) But I would like to say thank you to you too. To the fans who came out and supported me, I am most thankful.
곰TV 시즌2 결승] 김택용 아버지 김민호씨 인터뷰 "우리 아들이 최고다" GOM TV Season 2 finals - Kim Taek Young's father Kim Min Ho Interview - "My son is the best"
-아들이 2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Your son has won twice in a row.
▶우리 아들이 최고다. 너무 장하고 자랑스럽다. 경기 전부터 (김)택용이가 우승할 것으로 생각했다. My son is the best. I am so proud of him, and proud to be his father. I knew before the matches began that my son would win.
-우승을 예감한 특별한 이유라도 있나. Is there any special inkling that made you believe your son would win?
▶ 택용이가 다른 선수들에 비해 긴장을 많이 하지 않는다. 결승전이라는 큰 무대에 서면 부담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은데 택용이는 다른 선수들에 비해 부담을 덜 갖는 것 같다. 택용이가 경기 전에도 자신 있다고 이야기했다. 아들을 믿었다. Taek Young, compared to other players, is not as nervous. If you stand in front of a massive audience in the finals tournament, there are many cases of nervousness, but Taek Young isn't as nervous. Taek Young also told me that before the match, he had a lot of confidence. I believed my son.
-경기가 5세트까지 가는 접전이었다. 걱정도 됐을 것 같다. The matches went to the fifth and final set. Didn't you worry?
▶자식 걱정하지 않는 부모가 어디 있겠는가. 게임 도중 어려운 상황도 있었지만 끝까지 아들을 믿고 기다렸고 결국 택용이가 해냈다. 정말 자랑스럽다. Is there any parent who would not worry about his own child? During the game, there were some difficult moments, but I believed my son to win in the end, and finally, he did it. I'm very proud of him.
-오늘 저녁은 어떻게 보낼 계획인가. How do you plan to spend dinner tonight?
▶택용이만 시간이 된다면 가족들이 모두 모여 식사라도 함께 하고 싶다. 하지만 택용이 경기가 며칠 후에 또 있어서 시간이 날지 모르겠다. 택용이가 바쁘면 나머지 식구들이라도 모여 택용이의 우승을 축하해야겠다. If Taek Young has some time, I would like for the whole family to gather and have a meal together. But he has another show match in a few days, so I don't know if he has time. If he is busy, at least the rest of the family can get together and congratulate his success.
-MBC게임 히어로가 프로리그 포스트시즌에 진출해 있다. 프로리그에서도 아들이 우승하기를 바랄 것 같다. MBC Game Hero has entered the Proleague post season. Do you want your son to do well in the Proleague as well?
▶물론 프로리그에서도 좋은 성적을 내기를 바란다. MBC게임에는 택용이 말고도 좋은 선수들이 많다. 분명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Of course, I wish my son to do well in the Proleague. In MBC Game Hero, there are many good players other than my son - I firmly believe that they will do well.
-마지막으로 아들을 아끼는 팬들에게 한마디 한다면. Finally, if there is any last world to the fans of your son.
▶우리 아들을 응원해 주시고 아껴주시는 팬 여러분과 예뻐해 주시는 모든 분들께 감사 드린다. 이루 말로 다 표현할 수 없을 정도다. 죄송스러운 마음까지 든다. 앞으로도 우리 택용이에게 많은 사랑 부탁 드린다. To the fans who love and care for my son - thank you so much. I cannot express fully my thanks in words - I almost feel sorry. In the future, please love, care, and support my son, thank you so much.
It says that since i'm a new member i couldn't create a new thread - if some admin could kindly move the two posts to a new thread and place them into spoilers for the rest of the community, that would be great. hopefully the interviews are translated correctly (it's my first translation...^^)
hmm...i don't know yet how to create new threads on TL.net - but i went ahead and gave my best shot at translation.
if possible, I would like to join the translation team heh ^^ but only if you guys feel my translations are OK and accurate; if not please let me know, so i can improve
[다음] 삼성전자 송병구 인터뷰 "차기 시즌에는 우승 차지하겠다" Samsung KHAN Song Byung Gu Interview "Next season I will win"
-3위를 차지했다. You have gotten the 3rd seed.
▶3위와 4위는 시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승리하고 싶었다. 그런데 사실 연습량도 부족하고 맵도 어려워서 져도 어쩔수 없다는 생각으로 왔다. 더구나 이영호 선수는 내가 피하고 싶은 선수 중 한 명이기 때문에 더욱 부담스러웠다. 나도 어떻게 승리했는지 잘 모르겠다. Because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3rd and 4th seed, I wanted to win. But honestly, I was not able to practice as much and the maps were difficult, so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I couldn't do much. On top of that, Lee Young Ho (By.Flash) is a player I want to avoid - so there was the added stress. I don't know how I won.
-1, 2세트가 모두 역전극이었는데 The first, second set were close showmatches...
▶1세트는 운이 정말 좋았다. 벌처가 본진에 난입했을 때 스타게이트와 플릿 비콘을 모두 들켰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진 줄 알았다. 그런데 어쩐지 좋은 타이밍에 진출을 안 하더라. 나중에 알고 보니 그 때 플릿 비콘을 못 봤다고 하더라. 이후에는 자신의 상황이 좋아서인지 컨트롤에 크게 신경쓰지 않았던 것 같다. 2세트는 연습 중에도 그런 스타일의 경기가 한번도 나오지 않아서 나도 당황했다. 오늘 컨셉트는 2팩토리를 배제한 빌드였다. 지난 4강전에서도 변형태 선수의 2팩토리에 당했는데 내가 2팩토리를 상대하는 방법을 도통 모르겠더라. 사실은 아직도 2팩토리에 별로 자신이 없다. 스카우트를 뽑은 이유는 간발의 차로 스타게이트를 취소하지 못한 상황에서 게이트도 파괴당해 자원이 남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영호 선수 본진을 보니 일꾼이 너무 적어 스카우트가 한 기 있으면 테란에게 몹시 귀찮을 것 같았다. 톡톡히 효과를 봐 만족했다. I was very lucky in the first set. When the vulture came into my main, I thought my opponent saw the stargate and fleet beacon. And so I thought I lost. But at the right timing, he did not push out. Later on, I found out that he was not able to see the fleet beacon. After, I thought my condition was good, so I did not spend as much attention to control. I was taken aback since I had never experienced the second set strategy during practice. Today's concept was on countering a 2 factory build. I was beaten by a 2 factory build by Iris at the OSL semifinals, yet I do not know how to effectively counter this build. To be honest, I still don't feel as confident against a 2 fac build. The reason I built a scout was that I had money left over from not having to cancel my stargate, and having my gateway destroyed. But when I saw Flash's main, his scv count was low, so one scout could be a very annoying thorn in the Terran's side. This plan came to fruition, so I am satisfied.
-3세트는 무난하게 승리를 거뒀다. The third set was a normal standard victory.
▶프로토스가 승률이 좋은 맵이지만 일반적인 빌드로 갔다간 이영호 선수에게 간파당할 것 같았다. 그래서 자원을 많이 가져가는 빌드를 사용했다. 4세트 맵이 너무 어려워 3세트를 따내지 못한다면 5세트까지 갈 지도 모른다는 생각으로 경기했다. The Protoss have a winning record on this map, but I felt that had I gone with a standard build, Flash would have defeated me. So I took the economy road build order, taking many expansions and securing money. The fourth map is very difficult, so I played with the mindset that if I did not win on the third map, I would probably have to go to the fifth set.
-스타리그를 마무리했는데 가장 아쉬운 경기라면. This season's starleague has concluded for you - is there any regrettable match?
▶아무래도 4강전이 가장 먼저 떠오른다. 내가 취약한 부분을 충분히 생각하고 그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빌드를 짰어야 하는데 너무 자신감에 넘쳤던 것 같다. 오늘도 어렵게 승리했지만 아직도 테란전에 자신이 없는 상태다. Yes, the Ro4 semifinals popped into my mind first. I should have thought much about what strengths and weaknesses I have against my opponent, and utilized an accompanying build order, but I was too confident. Today was a difficult victory, but I don't feel confident playing against Terran.
-시드를 받는데 성공했다. You received the seed.
▶내가 4위를 해서 스타 챌린지에서 1위를 하지 못했을 경우 어려운 상대인 (마)재윤이형을 만날 수도 있고 우리팀의 (김)동건이를 만날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그리고 결승을 앞두고 일정이 많아지면 결승전에 100퍼센트를 쏟아부을 수 없을 것 같아 꼭 이기고 싶었다. 우리 팀 선수들이 내일 예선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이 도와줬다. 계속 한 턱 내겠다고 하면서도 아직까지 지키지 못했다. 이제 숙소에 돌아가서 한 턱 쏘겠다. 그리고 (박)정석이형에게도 8강에서 이기는 사람이 밥을 사기로 했는데 일정이 바빠 아직까지 연락을 못했다. 프로리그 결승전 상대가 결정되기 전 까지는 시간이 있으니 혹여 이 인터뷰를 보시면 좋은 시간에 연락 주셨으면 좋겠다. If I had received the fourth seed and not received first in the Star Challenge group, I would have had to probably play against sAviOr, a very difficult opponent, or play against Kim Dong Gun of my team. And having the elimination final matches up front, I felt that I would not be able to focus 100% of my energy into those matches had I not won. My teammates, despite having our proleague match tomorrow, helped me greatly. I kept telling them that I would buy food for them one time, but I still have yet to keep that promise. Now, I will go back to the team house and buy them food. Also, Reach and I promised each other that in the Ro8, whoever wins will buy food for the other, but I was so busy I was not able to call him yet. There is still some time before our proleague match opponent is to be decided, so in case you are watching this, let me know what would be a good time for food (towards Reach).
-차기 시즌의 각오를 듣고싶다. What are your goals for next season?
▶열심히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 스스로 우승권에 들 만한 실력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더욱 노력해서 프로리그 우승을 차지하고 다음 시즌에는 개인전에서도 우승권까지 실력을 끌어올리겠다. I am working hard, but I feel that I myself do not have the skill level yet to achieve first. I will work even harder, and after securing our Proleague victory first, I will work towards improving my skill towards the finals next season.
again, please let me know of any mistakes - my korean is not as good, but i like to follow progaming and translate on the side ^^
On July 19 2007 10:32 joohyunee wrote: mm go ahead and translate away, but leave a message here saying you're translating something on this page so we don't have overlappage going on =P
sorry! i didn't realize that someone else was also translating that happened with infinity21 too last time...next time i will make sure to leave a note/post
On September 08 2007 04:29 Aepplet wrote: old but i would like to request an interview with Rock after he won the StarChallenge if possible >_<
should be one in fighterforum, right?
T_T it would take longer to find the interview than to translate it. fifo's searching function isn't that great I can't find the interview myself after some searching but if you can somehow find it I'll translate ~_~
On September 08 2007 04:29 Aepplet wrote: old but i would like to request an interview with Rock after he won the StarChallenge if possible >_<
should be one in fighterforum, right?
T_T it would take longer to find the interview than to translate it. fifo's searching function isn't that great I can't find the interview myself after some searching but if you can somehow find it I'll translate ~_~
ouch
oh well, let's see...which is the search button?
EDIT: oops, i thought bob posted a link related to the easy button lol. thanks a lot both of you!
if someone translates this (Rock's part in particular!) it would be awesome (even more so than it already is!). Thanks a lot for all the translations you've done!
if someone translates this (Rock's part in particular!) it would be awesome (even more so than it already is!). Thanks a lot for all the translations you've done!
Translators: You Rock! ^^
No promises, but how long is this vid? I can't download with torrent cause of my uni's connection. If it's relatively short, I'll try to get it done in a week or so.
not sure, it's not done yet but i don't think it's short. when it's done loading i can cut out the important parts for you and you can take a look at it, perhaps? you don't need to promise anything of course!
if someone translates this (Rock's part in particular!) it would be awesome (even more so than it already is!). Thanks a lot for all the translations you've done!
Translators: You Rock! ^^
No promises, but how long is this vid? I can't download with torrent cause of my uni's connection. If it's relatively short, I'll try to get it done in a week or so.
On October 28 2007 17:11 Cambium wrote: Wow... that was fast, and no sleep?
It's 4 AM
It was really a coincidence. I was hanging out with my floormates until just now and of course the first thing I do when I go into my room is check TL I don't have a midterm until this coming Friday so I figured why not translate a bit?
By the way, I still haven't met you yet Bill! I've heard from the other Bill that you live in the area. We should do a small gathering for Waterloo students for MSL finals or something ^^
I just need to know a little u know. IF she is just a journalist there is a chance that I can use my magic and add her as MYM StarCraft Editor!! I think we would be a good team and we would work a lot!
Her name is Jung Yoo Ri; she is a model who entered the E-sports world and is now striving to be one of the best commentator/gameshow hostess.
uh.. the rest is just basic... stupid information that you probably don't really care about --; i'm guessing THIS is the part you want translated?
“이 선수 방송에서 많이 봤었는데 너무 잘생긴 것 같아요. 딱 제 스타일이랍니다. 얼굴도 잘생기고 게임도 정말 잘하더라고요. 네? 이 선수 나이가 열 아홉 살이라고요? 너무 어리잖아요. 그럼 포기해야겠네요.”
(upon seeing an E-Force Magazine with Bisu[Shield] on the cover [Fighterforum's weekly magazine]) "I saw this player on many broadcasts, and I think he's so handsome. He's definitely my style. He's good looking and he's really good at his game as well. What? He's only 19? He's too young for me... I guess I'll have to give up then."
Evidently Bisu's got the hots of even a model 0.o..
Bisu's quite the pimp, I imagine his success is bringing in half the female fans. Anyways, does anyone have that interview someone did with Stork where he talks about how Bisu seemed to know what would happen in a certain PvZ game everytime before it happened, even where? Seems like an interesting interview.
-That was a dominant performance. Did you do any special preparation. ▶ It's half-half. There were parts that I prepared and parts that I improvised. I just stuck to what I do and ended up winning.
-You produced zerglings pretty early in the opening, where you planning on pressuring your opponent? ▶It depends on how the Protoss plays.
-You're recent ZvP is very impressive, and many are hoping for a rematch with Bisu. ▶I don't really think about it. If we meet through the bracket, then we meet. I don't think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past Protoss and present Protoss. I'm just playing as I always have.
-With your schedule so busy, was it difficult to prepare. ▶My schedule was packed, but I've been this busy before. It's not an issue.
-Many say that Blue Storm is a Protoss-favored map. ▶I also think that it favors Protoss a little. The little things are good for Protoss, such as scouting being quick due to being a 2 player map, or the fact that there arn't many resources.
-You just broke your Proleague losing streak to continue your recent string of wins. ▶It's the same whether I win or lose. I simply lost a bunch at once. I don't think I have changed.
Disclaimer: this is my own translation - please do not say anything about incorrect grammar; i did this in about 5-6 minutes in a simple/quick fashion because i really don't have the time to write a lot of stuff and contribute to the website; you can keep asking for interview translations, but it will not guarentee that it will be translated. I am sorry but I am just so busy lately - i'll read over the interviews and see if they are worthy to be translated; if not, then i probably won't translate it.
[신한은행] 르까프 오영종 인터뷰 “윤용태의 17승을 넘고 싶다” [Shinhan Bank] Lecaf Anytime[gm] "I want to surpass Free[gm]'s 17 wins"
-9승을 달성했다. ▶별 생각 없다. 우리 팀 분위기가 좋다 보니까 열심히 하려고 더욱 노력하고 있다. 승수는 그러한 노력 덕분에 따라오는 것 같다. 6승을 달리고 있는 선수들과의 갭을 벌렸다는 것도 기쁘다. -You achieved 9 wins. ▶It's not that big of a deal. The atmosphere in my team's been good so I have been trying to do well. The number of wins comes from such effort. I am happy that I was able to widen the gap between the players with 6 wins though.
-스피드 업그레이드 질럿 러시가 잘 통했다. ▶상대가 다크 템플러 빌드를 연습했다면 다크 템플러로 입구를 막아놓고 병력 충원에 신경 썼을 것이다. 그렇지만 본진 견제에 치우치다 보니 내가 뛰어 나가는 타이밍을 몰라서 쉽게 이겼던 것 같다. -The Speed Upgrade Zeal Rush worked well. ▶If the opponent practiced the DT build he would have focused on building up his force while blocking his ramp with a DT. But he focused too much on harassing my base and missed my running zeals' rush timing.
-본진을 비우고 뛰쳐나가면 위험하지 않나. ▶다크 드롭이 올 때면 내가 먼저 치고 나가려 했다. 그렇지만 박대경 선수의 다크가 걸어왔기 때문에 타이밍이 빨라 다소 당황했다. 그래도 안 쪽에서 공격하는 것에 치우쳐 있어 무작정 치고 나갔다. -Isn't it dangerous to leave the base like that. ▶If he dropped DTs I was going to attack him first. I was a little suprised because the DT walked the distance earlier than the timing i was used to facing. But he focused on attacking the inside too much so I attacked.
-김성곤의 세리머니가 인상적이었다. ▶지난 번 SK텔레콤과 삼성전자의 경기에서 세리머니한 것이 문득 생각나서 패러디했다. 김성곤 선수가 알아서 글자 모양도 그리고, 디자인했다. -Kim Sung Gon's ceremony was awesome ▶It was a parody of SK Telecom's ceremony against Samsung. Kim Sung Gon drew the fonts and designed it as well.
-한 턴 돌 때까지 몇승이나 할 것 같나. ▶윤용태 선수가 전기리그에서 17승7패로 1위했는데 그것보다는 많은 승수를 쌓고 싶다. -How many wins do you think you can get in the first round robin? ▶In the first half, Free[gm] won the award for the most wins with 17 wins and 7 losses. I want to surpass that number.
-2007시즌 승률 1위다. ▶ 지킬 수 있을지 모르겠다. 나는 경기수가 적다 보니까 집중해서 경기를 준비할 수 있었고 그 덕에 승률이 높아졌다. 나도 이제 더 많은 경기를 뛰고 싶다. 챌린지 리그나 프로리그에서 계속 나올 예정이기 때문에 어려울 것 같기도 하지만 1위를 고수하고 싶다. -you are the player with the highest winning percentage in 2007. ▶ I don't know if i can defend it. i don't have a lot of games so i am able to focus on each of my games. But now i want to go into more games. I will be going into OSC and Proleague continually so it will be hard but i still want to keep my first place.
-고마운 사람이 있다면. ▶오늘 사용한 전략도 후배들과 함께 연구한 것이다. 나 혼자 있었다면 승승장구할 수 없었을 것이다. 송현덕, 노영훈 등 후배들이 전략 구상을 많이 해준다. 실전에서 잘 통하는 것 같다. -anyone to thank. ▶I came up with the strategy today with my Hoobae (younger students) [kinda like senpai in japanese except for the younger person] If I didn't have them i wouldn't be winning so much lately. Song Hyun Duk, No Young Hoon help me make up the strategies. They work well in the real games.
On October 30 2007 12:26 HonestTea wrote: -You're recent ZvP is very impressive, and many are hoping for a rematch with Bisu. ▶If we meet through the bracket, then we meet.
haha this reminds me of the russian boxer from rocky, "if he dies, he dies."
I was hoping someone could be kind enough to translate Mind's interview after winning last night's match, specifically the questions at the end regarding Savior.
On October 30 2007 12:26 HonestTea wrote: -You're recent ZvP is very impressive, and many are hoping for a rematch with Bisu. ▶If we meet through the bracket, then we meet.
haha this reminds me of the russian boxer from rocky, "if he dies, he dies."
someone remind me to never press back when i'm editing my post for the interview...
[신한은행] 공군 임요환 “주장 역할한 것 같아 기쁘다” [Shinhan Bank] Airforce ACE Lim Yo Hwan "I am happy that I did my job as the captain"
-오랜 연패를 끊었다. 기분이 어떤가. ▶전기리그에는 다른 팀들이 우리를 이길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면서 임한 덕에 뜻밖에도 성적이 좋았다. 후기리그에는 전기리그에 당했던 팀들이 공군은 강하다고 인식한 상태에서 긴장하고 경기한 것 같다. 다른 팀들이 전력을 다해 대비해서 연패를 했다. 우리도 좋은 환경에서 게임을 하게 됐지만 성적이 좋지 않아 아쉬움이 많았다. -The losing streak finally ended. How do you feel. ▶In the first half of Proleague other teams underestimated us and we were able to do much better than we expected. In the latter half though, the teams recognized Airforce ACE as a strong team and gave it their all with every match, which led to our losing streak. We were frustrated because our performance didn't get better even though we were able to practice in a good environment.
-그동안 마음 고생이 심하지 않았나. ▶주장을 맡고 나서 연패를 이어가서 심적 부담이 컸다. -Wasn't it mentally difficult. ▶I was very pressured because the team kept losing when I am the captain.
-개인적으로는 후기리그에서 성적이 그렇게 나쁜 편은 아니었다. ▶초반에는 2승으로 좋았지만 공군이 성적을 못내고 있다는 압박이 컸다. 선수들 사이에서도 환경은 나아졋는데 성적은 떨어져서 더 잘해야 한다고 서로간에 압박을 주다 보니 부담이 커졌다. -Your individual performance in the latter half wasn't too bad. ▶I started off with 2 wins but I was pressured because the team wasn't doing too well. Everyone kept pressuring each other to do better since we have a better practice environment now, and I felt even more pressured as the captain.
-박성균이라는 상대는 테란전만 치르면서 MSL 4강까지 간 선수였고 최연성을 이긴 적도 있다. ▶ 신인이기는 하지만 4강에 오른 것을 알고 있다. 최연성 선수를 꺾고 올라갔기 때문에 잘하는 선수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우리 팀의 김선기, 최인규와 SK텔레콤 최연성, 정명훈 등 많은 선수들이 도와줘서 박성균 선수의 스타일을 알 수 있었다. -Park Sung Gyun (Inter.Mind?) got to the semifinals of the MSL just by playing TvT, and even beat Oov to get there. ▶He's a new player but I know that he got to the semifinals of the MSL. I recognized him as a good player because he beat ooV to get there. My team's HOTForever, CHRH, and SK Telecom's Oov and By.Fantasy(our sandlot player!!!!) helped me so I was able to learn well to his style really well.
-오늘 경기 컨셉트는 무엇이었나. ▶ 한빛 임진묵 선수에게 졌을 때 모든 것이 내 의도대로 됐지만 한 번의 실수로 인해 경기를 내줬다. 그날 김종수 단장님도 오셔서 응원을 하셨는데 역전패를 당해 아쉬웠고 상처도 많이 받았다. 이번에는 정석적으로 플레이하면서 긴장하지 않으려는 것이 의도였다. -What was today's concept. ▶In my match against Lim Jin Mook I had everything going the way I wanted it to go but I lost because I made one mistake. Kim Jong Soo, the sponsor for Airforce ACE, even came out to cheer us on but we got comebacked by Hanbit. I was very disappointed and hurt. I wanted to play standard and not become anxious.
-임요환도 긴장하나. ▶군에 와서 처음 느낀 감정이다. 공군이 못한다고 여러 곳에서 질타를 많이 해서 긴장했다. 지금은 공군 선수들 모두가 힘든 시기다. 격려의 한 마디가 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Is it possible for LYH (Boxer) to be anxious. ▶I felt it for the first time when I came to the Airforce. I became anxious because so many people kept saying "ACE sucks". Right now, it's hard for everyone in the Airforce team. One more word of encouragement is needed more than criticism.
-조이기 라인을 형성했을 때 컴셋이 닿을 수 있도록 자리를 잡았다. ▶무리해서 조이기를 하다보면 어떻게 될 지 모른다. 내 업그레이드가 빨랐기 때문에 자신은 있었지만 끌려 들어오지 않더라. 상대 대응이 침착했다. 상황이 그렇게 만들어지면서 확실하게 조이기로 결정했다. -When you created the containment you placed your tank in range of the comsat. ▶No one knows what will happen if one contains too aggressively. I was confident since my upgrade was faster but he did not push into my contain even though it was so close. His reaction was very calm. When the situation became that way I decided to go all out on the containment. (sorry it's not very clearly stated in the korean as well --
-연습 환경은 좋은가. ▶정말 좋아졌다. 공군은 e스포츠 팀에게 최고의 대우를 해주고 있다. 그래서인지 더 압박감이 심하다. -Is the practice atmosphere good. ▶It got so much better. Esports is giving the best options for the Airforce ACE team. Because of that we feel more pressured to do well.
-후기리그 목표가 있다면. ▶ 첫 턴의 마지막 경기를 이기면서 느즈막히 첫 단추를 뀄다. 다른 팀들에 비해 늦었고 갈 길이 멀다. 승리의 맛을 본 지 몇 개월이 됐는지 기억도 나지 않는다. 후기리그에서 처음으로 승리의 느낌을 얻었기 때문에 1승씩 쌓아가고 싶다. 남은 경기 최선을 다해서 승리에 익숙한 팀이 되는 것이 목표다. 개인적으로는 공군에 입대한 이후 60%를 채우고 싶다. 길게 보고 차근차근 한 발씩 나아가겠다. -Do you have any goals for the latter half. ▶ We finally won one game in the first round robin. It is late compared to the other teams and there is a long way to go. I don't even remember the last time I won. In the latter half I finally re-experienced the feeling of victory so I want to stack the wins one at a time. I want to do my best and make the airforce team be used to winning. I want to have an overall .600 while being in the Airforce. I will look to the future and take things one at a time.
-하고 싶은 말은. ▶중앙 전산소장이신 김종수 대령님이 11월19일에 예편하신다. 공군 에이스 팀 창단부터 지금까지 정말 신경을 많이 써주신 분인데 군을 떠나신다니 아쉽다. 얼마전 단장님께서 “내가 제대하기 전에 1승이라도 하길 바란다”고 하셨을 때 정말 죄송했다. 예편하시기 전에 1승이라도 선물할 수 있어서 정말 기쁘다. 그동안 많이 도와주셔서 정말 감사하다. 많이 져서 죄송한 마음이 더 크다. -Any last words. ▶Kim Jong Soo our sponsor is getting out of the airforce on the 19th. I am sad that he is leaving because he cared so much for the air force team. He asked me to win just one match for him before he leaves (i think he's had time to finish up w/e he needed to before being officially released on the 19th or something like that). I am very happy that we were able to get at least one win before he leaves. I am very thankful for all the help he's given us. I am sorry that we've been losing so much lately too.
OMG HERE ARE ALL THE INTERVIEWS! I was one inch away of posting the question why you guys stopped the threads. Was allways under the impression this thread was just to gather and manage the translator-team.
It's like i was blind and now the holy light kissed my eyes. I feel so happy right now.
On October 30 2007 06:46 joohyunee wrote: Her name is Jung Yoo Ri; she is a model who entered the E-sports world and is now striving to be one of the best commentator/gameshow hostess.
uh.. the rest is just basic... stupid information that you probably don't really care about --; i'm guessing THIS is the part you want translated?
“이 선수 방송에서 많이 봤었는데 너무 잘생긴 것 같아요. 딱 제 스타일이랍니다. 얼굴도 잘생기고 게임도 정말 잘하더라고요. 네? 이 선수 나이가 열 아홉 살이라고요? 너무 어리잖아요. 그럼 포기해야겠네요.”
(upon seeing an E-Force Magazine with Bisu[Shield] on the cover [Fighterforum's weekly magazine]) "I saw this player on many broadcasts, and I think he's so handsome. He's definitely my style. He's good looking and he's really good at his game as well. What? He's only 19? He's too young for me... I guess I'll have to give up then."
Evidently Bisu's got the hots of even a model 0.o..
seeing as this dude is in the finals, i guess it's about time we start researching a bit? He must have been interviewed already at least twice (or am i wrong?), and we know nothing ^^
if someone could translate this it would be really cool =)
seeing as this dude is in the finals, i guess it's about time we start researching a bit? He must have been interviewed already at least twice (or am i wrong?), and we know nothing ^^
if someone could translate this it would be really cool =)
Mind's interview's stupid. He said he doesn't control his units (game 4) and he threw away half his units in game 2 trying to imitate Nada. uh.. also he says he wasn't happy he was going to the finals for some reason(he knows he's at the end of the road now uh... other than that he just wants to do his best in the MSL finals.
as for this one, i'll take some time to translate this AFTER I come back home from the library today (around 5pmish) so please stay tuned or come back to check it later.
[신한은행] 르까프 오영종 인터뷰 "한 코치님 덕에 승리할 수 있었다" [Shinhan] Lecaf Oh Yong Jong Interview “It was all thanks to Coach Han”
-귀중한 1승을 거뒀다. 2패 뒤 1승이다. ▶너무 잘 나갈 때에는 불안함이 있었다. 2연패를 당한 뒤 불안함을 날려 버렸고 다시 이길 수 있을 것만 같았다. 이번 승리를 시작으로 앞으로도 쭉쭉 이길 수 있을 것 같다. -It was a valuable 1 win after 2 losses. ▶I was beginning to feel anxious when things were going to well. After 2 straight losses the ominous feeling that kept bothering me left and I felt like I was able to win again. I think I will be able to keep winning starting from this match.
-다승왕에 한 발 더 다가섰다. ▶지난시즌 뒤늦게 다승왕 레이스에 참여했는데 (윤)용태가 먼저 앞서가 따라가기가 너무 힘들었다. 이번 시즌에는 내가 먼저 앞서 나가고 싶었다. 이 격차를 유지해 다승왕을 차지하고 싶다. 이번 시즌에는 욕심이 난다. -You are one step closer to being the King of Wins. ▶Last season, I got into the King of Wins race too late; it was really hard to catch up with Free[gm]. This season I wanted to be the one that’s ahead. I want to keep the gap the way it is right now and take the title of the King of Wins.
-3연패 가운데 '원투펀치'가 자주 패했다. ▶ 신예 선수들과 경기를 할 때에는 긴장을 하지 않는데 앞서 출전한 제동이가 패해 긴장이 됐다. 긴장을 하고 있어 놀랐다. 그래도 마음을 다잡고 경기를 풀었다. 제동이도 연습을 소홀히 하는 것이 아니다. 여전히 잘하고 좋은 경기를 펼친다. -During the team’s 3 match losing streak, the “1-2 punch” lost a lot. ▶I don’t get nervous when I play new players but I started to become anxious when Jaedong lost before me. I was actually surprised that I became nervous, but I pulled myself together in time to do well in the game. It’s not that Jaedong isn’t practicing hard enough. He’s still playing really well.
-조정웅 감독의 삭발 발언이 있다고 하던데. ▶게임에 집중하고 자극 받으라는 의미에서 하신 말씀인 것 같다. 희한하게도 삭발 발언이 나오면 다음 경기는 한 번도 패한 적이 없었다. 이번에도 타이밍 좋게 말씀 하셨고 선수들이 자극을 충분히 받았다. -It’s been rumored that Coach Jo Jung Oong wanted the Lecaf players to shave their hair. ▶He meant for us to focus on the game more and be stimulated at the same time. The funny thing is that after every speech mentioning shaving heads, we never lost. He made the speech at a good time and everyone became well stimulated and motivated.
-You won without too much trouble. ▶ I made the mistake of making a zealot instead of a core after I saw the SCV. But he made a lot of mistakes when it came to pushing the vultures over the wall, and I relaxed seeing that my opponent was even more nervous. I was able to keep my mind at peace when I saw signs of good luck early on, and I think that is why I won.
-이전과 비교했을 때 이번 3연패 때 느낀 기분은. ▶시즌 초 집중해서 연습을 할 때에는 성적이 잘 나오다가 중반에 흐트러지는 상황이 항상 닥쳤다. 그 때 패하고 다시 마음을 다잡아 승리를 하다 또 한 차례의 흐트러짐이 온다. 그 점을 고쳐야 하는데 아쉬운 부분이다. 앞으로 더 좋은 성적을 올리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How do you feel about the 3 straight losses compared to the time before? ▶We fell into the situation where we were doing well at the beginning of the season but started to lose steam mid-season. Even after we reset our minds and start winning, the time for the losses comes once again – I wish that wouldn’t happen. We will strive to do better in the future.
-르까프 연습 상대로 위메이드와 온게임넷 선수들이 자주 언급된다. ▶위메이드는 감독님 사이의 친분이 크기 때문에 많이 도와주는데 온게임넷의 경우는 선수들 사이의 친분이 많은 것도 아닌데 쉽게 도움을 준다. 정말 고마운 팀이다. 순위에서 바짝 붙어있지만 온게임넷과의 경기는 많이 남아있기 때문에 신경쓰지 않는다. -A lot of times Ongamenet and Wemade seems to be practice partners for Lecaf. ▶The Wemade coach is close to our coach so we get a lot of help but in the case of Ongamenet players they just help us even though we’re not particularly close. We are very thankful for them. We are very close in ranking but I am not worried since there aren’t that many games to play against them.
-박지수의 2팩토리를 막으며 힘들었다는데. ▶2 팩토리를 상대하면서 너무 머리가 아팠다. 가난한 상황에서 막으려고 할수록 너무 힘들었다. 그런데 한상용 코치님이 해법을 주셨다. 가난함을 버리고 부유하게 경기를 펼치자 쉽게 막았다. 순간 너무 감사하고 코치님께 큰 도움을 받았다고 전해드리고 싶었다. -It’s been rumored that it was hard to block Park Ji Soo (I think forGG_V.. someone correct me if i’m wrong)’s 2 fact rush. ▶I had a hard time dealing with 2 fact rushes. I tried to block it playing economically poorly, but it was even harder then. But Coach Han showed me the solution. He told me to play with strong economy, and it became easy to block. In that short moment he helped me greatly and I want to thank him very much for his help.
What do you mean this is nothing special? These are the words coming out of the mouth of FALL-TOSS!
I thought it was a fairly interesting interview...Anytime's so badass :D
I know that team members from other teams help other teams, but Wemade and OGN helping Lecaf? Random? Usually this sort of help comes when individual players are prepping for finals or something. But helping a whole team in general? That's kinda weird
Thanks again joohyunee! This translation is awesome
Note: If you REALLY REALLY feel the interview isn't worth translating (This one definitely is), feel free to skip it but please give a summary ^^
SK텔레콤 T1이 무단 외출한 김성제를 집으로 돌려 보냈다. 선수단 기강 확립 차원에서 온라인 연습생으로 강등시킨 것.
SK Telecom T1 sent Kim Sung-Jae back home for going out without permission. In order to tighten discipline among the players, he has been demoted to an online practice partner.
후 기리그부터 2군에서 생활하고 있는 김성제는 지난 10일 KTF 매직엔스와의 경기를 마친 뒤 선수단이 숙소에 복귀하기 전 허락을 받지 않고 외출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김성제가 좋아하는 해외 팝스타의 콘서트가 열렸고 이를 관람하기 위해 선수단이 도착하기 전 허가 없이 숙소를 떠났다.
It was confirmed that Kim Sung-Jae, who has been in the 2nd tier group since post season, left the T1 quarters without getting permission before the team returned from their game against KTF MaginNs on the 10th. There was a concert from a foreign pop-star that Kim Sung-Jae liked and in order to attend, he left without permission before the team arrived.
SK텔레콤은 이날 KTF에게 패하며 5연패에 빠졌을 뿐만 아니라 전상욱의 아버지가 돌아가시는 일까지 악재가 겹쳤다. 장례식장으로 이동하기 위해 인원 파악을 하던 중 김성제가 없다는 사실을 확인했고 무단 외출이 발각됐다. SK텔레콤 코칭 스태프는 김성제가 돌아오는 즉시 짐을 싸서 고향으로 내려가라는 엄명을 내렸다.
SK Telecom not only lost to KTF that day and lost 5 consecutive games but they had the misfortune of losing Jeon Sang-Wook's father. While checking the people attending prior to the funeral, it was found out that Kim Sung-Jae was not there and his leaving without permission. SK Telecom coaching staff sent Kim Sung-Jae back home as soon as he returned.
김성제는 지난 7월부터 2군 생활을 하면서 기량이 상승하고 있다고 평가돼 11월 로스터에 포함될 가능성도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단 외출로 인해 온라인 연습생으로 강등됐다. SK텔레콤은 김성제가 돌출행동으로 인해 팀워크를 해쳤다고 판단, 고향으로 내려보내는 특단의 조치를 취했다.
Kim Sung-Jae has been playing in 2nd tier since this past July and had a possibility of being in the roaster for November due to his increasing skill. Regardless, he was demoted to online practice partner due to his actions. SK Telecom concluded that Kim Sung-Jae hurt the teamwork by his unexpected actions and made the decision to send him back home.
SK텔레콤 측은 "김성제가 자성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온라인 연습생으로 강등시켰고 반성의 여지가 보일 경우 복귀시킬 계획"이라 밝혔다.
SK Telecom expressed that "Kim Sung-Jae was demoted to online practice partner so he can have time to reflect on his action and if he shows positive signs, we are planning on getting him to return."
Also, FiFo comes with some interesting news: Yooi is quitting pro gaming in order to become a commentator. His last game will be on November 21st at StarChallenge Season 2, Group E as planned.
His debut will occur at the Elite Studentwear School League and if one of the existing members drop out, he may be put into MSL or Pro League -- into MBC Game's main leagues.
He said something along the lines of "I'm looking forward to this new challenge. I did not produce great results as a pro gamer but I will become a good commentator"
thanks infinity really >.< i was scared i was gonna have to translate ALL those interviews about Mind and the people around him when i have to write my college essay stuff today =)
Someone said Bisu admitted he didn't play as well as he should have in an interview, I want to see his reaction after losing now. I only think he'll be inspired to greater heights, maybe put everyone's expectations behind him and play for himself foremost. I'm willing to bet he heard: You'll distroy him, too many times
Didn't they ask Bisu some questions. I was watching live and after they asked Mind some questions on stage, then they went and askd Bisu some questions. I would really like to hear what they asked Bisu and his answers. Please
On November 18 2007 17:25 Yaqoob wrote: Didn't they ask Bisu some questions. I was watching live and after they asked Mind some questions on stage, then they went and askd Bisu some questions. I would really like to hear what they asked Bisu and his answers. Please
Yeah that would be gold! ;D I can't find a translation of the live-interviews right after the final ended.. probably pretty standard answers but would be fun anyways :>
Bisu said "I really prepared a lot but I lost because Mind played so well today. The next time I'm on this stage I will need to prepare more strategically"
I tried to match the placement of the words with the sign.
Shinhan Bank Proleague 2007.
Mah Bonjwah Mah Zerg Mah Terran They all fit well eh? Mah Toss (Mah Jae Gom*)
*Gom means bear. I assume you already know this from Gom Player.
The lightly written names you see on the bottom right are random names. I assumed you didn't care to know them, but it'd take me all of 20 seconds to romanticize them into English if you want.
It's been a while since I've done translations...that first article may take me a while to do, but I'll try when I get time. That is, unless someone's already on it.
[1.15.1] KM9 v1.0.8 /////////////////////////////////////////////////////////////////// [ 이번버전의 추가된 내용 ] 1. 미네랄핵 유저리스트 On/Off로 수정 [ 기능 및 단축키 ] NUMPAD0 - 미네랄핵 유저리스트 자동 - 저그미네랄핵 감지 /////////////////////////////////////////////////////////////////// [ Public Site ] http://cafe.daum.net/oneofstarmaphack [ Private Site ] http://cafe.daum.net/blizzer Made by Death_Lion
사진을 보니깐 이전 버전에서의 오류인.. 본의 아니게 상대팀 스타팅 지점을 알 수있는 것을 수정한 듯 합니다. 재미있게 게임하세요..
ps) 자료실로 옮겨주세요..
KM9.dll is a Zerg mineral anti hack, I have an earlier version and it works fine, now I want this version but I need to understand this.
[1.15.1] KM9 v1.0.8 /////////////////////////////////////////////////////////////////// [ 이번버전의 추가된 내용 ] 1. 미네랄핵 유저리스트 On/Off로 수정 [ 기능 및 단축키 ] NUMPAD0 - 미네랄핵 유저리스트 자동 - 저그미네랄핵 감지 /////////////////////////////////////////////////////////////////// [ Public Site ] http://cafe.daum.net/oneofstarmaphack [ Private Site ] http://cafe.daum.net/blizzer Made by Death_Lion
사진을 보니깐 이전 버전에서의 오류인.. 본의 아니게 상대팀 스타팅 지점을 알 수있는 것을 수정한 듯 합니다. 재미있게 게임하세요..
ps) 자료실로 옮겨주세요..
KM9.dll is a Zerg mineral anti hack, I have an earlier version and it works fine, now I want this version but I need to understand this.
Thanks very much.
By the way if this is a working anti hack then someone plz plz plz plz translate
i read through them in the morning today.. everything was just regular posting stuff. I will be translating MBCgame's reaction to CJ's match though. (the 5th thing on fifo)
I am sorry i haven't been able to do that many interviews/translations lately... I've become more of a consumer than a contributer lately (i blame senioritis ;p).. I can't promise anything but I will try to translate when I'm not feeling so lazy >.< once again I am sorry... (btw a LOT of times I miss the translation requests b/c this thread never stays up long enough for me to see so PLEASE PM me if you REALLY want to know)
I am sorry i haven't been able to do that many interviews/translations lately... I've become more of a consumer than a contributer lately (i blame senioritis ;p).. I can't promise anything but I will try to translate when I'm not feeling so lazy >.< once again I am sorry... (btw a LOT of times I miss the translation requests b/c this thread never stays up long enough for me to see so PLEASE PM me if you REALLY want to know)
Ohhh... naughty naughty. Quick, volunteer to be demoted to the translation B team!
On January 13 2008 11:42 joohyunee wrote: i read through them in the morning today.. everything was just regular posting stuff. I will be translating MBCgame's reaction to CJ's match though. (the 5th thing on fifo)
Here are a couple of interviews from CJ Entus. If there is anything interesting it would be appreciated if someone translated it for us =) Thanks either way!
On January 20 2008 01:08 Aepplet wrote: Here are a couple of interviews from CJ Entus. If there is anything interesting it would be appreciated if someone translated it for us =) Thanks either way!
On January 20 2008 01:08 Aepplet wrote: Here are a couple of interviews from CJ Entus. If there is anything interesting it would be appreciated if someone translated it for us =) Thanks either way!
해설자로 변신한 주 훈 전 SKTelecom 감독 "걱정이 우려되지 않도록 최선 다한다" "); 작성[2008-01-28 10:52], 한줄답변[58]
e스포츠 사상 초유의 코칭 스태프 경질 사태가 일어난 지 1주일 만에 SKTelecom 주 훈 감독이 Ongamenet 해설 위원으로 자리를 옮겼다. 감독 생활을 3년 이상 한 e스포츠 인사 가운데 처음으로 해설자로, 마이크를 잡게 된 주 훈 감독은 "많은 분들이 내 진로를 위해 걱정해주셨고 그 걱정이 우려가 되지 않도록, 해설자의 위치에서 e스포츠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각오를 말했다.
Daum은 주 훈 해설위원과의 일문일답. 정리=남윤성 기자 force7@esforce.net
-해설자로 보직을 바꿨다. ▶ SK Telecom T1에서 경질된 뒤 며칠 되지 않아 Ongamenet에서 전화가 왔다. 해설자를 해보지 않겠냐는 내용이었다. 며칠 동안 고민 끝에 결론을 냈다. 처음 접하는 세계에 뛰어들려고 하니 설렌다.
-감독과 해설자의 역할은 많이 다를 것 같다. ▶ 경기적인 측면으로 보면 감독은 경기 내용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선수들에게 요점만 짚어주면 된다. 그렇지만 해설자는 세부적인 내용까지도 모두 시청자들에게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양의 대사를 쏟아내야 한다. 또 즉흥적인 내용들도 많고 그 안에 재미도 주어야 하기에 순발력이 요구되는 분야라고 생각한다.
-감독 출 Sin 해설자로서의 장점이 있다면. ▶선수들을 지도하고 함께 생활하는 동안 가졌던 것을 생생하게 전달할 수가 있다. 또 감독들의 용병술이 중점이 되는 프로League에선 내 경험이 크게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감독이 왜 저 선수를 기용했는지, 선수에게 바라는 점은 어떤 것인지, 또 선수들을 지도하면서 가졌던 노하우 등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선수들이 연습이나 실전에서 개인 화면만 보면서 발생하는 특이한 패턴들을 상당수 알고 있다. 감독으로서 양 쪽 선수들의 경기 화면을 옵저빙하며 느꼈던 산 경험들을 팬들에게 전달할 수 있다.
-스포츠 심리학을 전공한 것으로 알고 있다. 해설자라는 자리와 어떻게 접목할 것인가. ▶감독직을 수행하면서 내 전공과 선수 육성 사이에 접점을 찾으려 노력했다. 해설자의 자리에서도 접목시킬 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한다. 선수들이 어떤 생각을 갖고 전략을 구상했고 경기 중간에 나타나는 특이한 행동들의 선후 관계를 살펴 심리적으로 어떤 상태에 놓여있는지도 파악이 가능할 것이다. 프로게이머 출 Sin 해설 위원들이 수 많은 경험과 자신의 판단에 비추어 시청자들에게 의사를 전달한다면 나는 감독의 입장에서 옵저버를 하면서 쌓은 심리 상태 변화 양상을 전달하는데 충실하고 싶다.
-해설자 연습은 하고 있나. ▶본격적으로 들어간 것은 아니다. 휴식을 취하고 있는 상태다. 최근에는 독서를 통해 어떤 점을 e스포츠에 접목시키고 인용할지 공부하고 있다. 기본 상식부터 다시 쌓으면서 체계적으로 준비하겠다.
-어떤 프로그램을 맡을 예정인가. ▶아직 정해진 바 없다.
-해설자로서의 각오나 목표는. ▶ 많은 분들이 내 진로에 대해 걱정해주셨다. Ongamenet에서 해설 자리를 내준다고 했을 때 정말 고마웠다. 많은 분들이 내게 보내준 걱정이 우려가 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고, 시청자들에게 정확한 정보, 새로운 재미를 전달하는 해설자가 되겠다.
해설자로 변신한 주 훈 전 SKTelecom 감독 "걱정이 우려되지 않도록 최선 다한다" "); 작성[2008-01-28 10:52], 한줄답변[58]
e스포츠 사상 초유의 코칭 스태프 경질 사태가 일어난 지 1주일 만에 SKTelecom 주 훈 감독이 Ongamenet 해설 위원으로 자리를 옮겼다. 감독 생활을 3년 이상 한 e스포츠 인사 가운데 처음으로 해설자로, 마이크를 잡게 된 주 훈 감독은 "많은 분들이 내 진로를 위해 걱정해주셨고 그 걱정이 우려가 되지 않도록, 해설자의 위치에서 e스포츠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각오를 말했다.
Daum은 주 훈 해설위원과의 일문일답. 정리=남윤성 기자 force7@esforce.net
-해설자로 보직을 바꿨다. ▶ SK Telecom T1에서 경질된 뒤 며칠 되지 않아 Ongamenet에서 전화가 왔다. 해설자를 해보지 않겠냐는 내용이었다. 며칠 동안 고민 끝에 결론을 냈다. 처음 접하는 세계에 뛰어들려고 하니 설렌다.
-감독과 해설자의 역할은 많이 다를 것 같다. ▶ 경기적인 측면으로 보면 감독은 경기 내용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선수들에게 요점만 짚어주면 된다. 그렇지만 해설자는 세부적인 내용까지도 모두 시청자들에게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양의 대사를 쏟아내야 한다. 또 즉흥적인 내용들도 많고 그 안에 재미도 주어야 하기에 순발력이 요구되는 분야라고 생각한다.
-감독 출 Sin 해설자로서의 장점이 있다면. ▶선수들을 지도하고 함께 생활하는 동안 가졌던 것을 생생하게 전달할 수가 있다. 또 감독들의 용병술이 중점이 되는 프로League에선 내 경험이 크게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감독이 왜 저 선수를 기용했는지, 선수에게 바라는 점은 어떤 것인지, 또 선수들을 지도하면서 가졌던 노하우 등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선수들이 연습이나 실전에서 개인 화면만 보면서 발생하는 특이한 패턴들을 상당수 알고 있다. 감독으로서 양 쪽 선수들의 경기 화면을 옵저빙하며 느꼈던 산 경험들을 팬들에게 전달할 수 있다.
-스포츠 심리학을 전공한 것으로 알고 있다. 해설자라는 자리와 어떻게 접목할 것인가. ▶감독직을 수행하면서 내 전공과 선수 육성 사이에 접점을 찾으려 노력했다. 해설자의 자리에서도 접목시킬 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한다. 선수들이 어떤 생각을 갖고 전략을 구상했고 경기 중간에 나타나는 특이한 행동들의 선후 관계를 살펴 심리적으로 어떤 상태에 놓여있는지도 파악이 가능할 것이다. 프로게이머 출 Sin 해설 위원들이 수 많은 경험과 자신의 판단에 비추어 시청자들에게 의사를 전달한다면 나는 감독의 입장에서 옵저버를 하면서 쌓은 심리 상태 변화 양상을 전달하는데 충실하고 싶다.
-해설자 연습은 하고 있나. ▶본격적으로 들어간 것은 아니다. 휴식을 취하고 있는 상태다. 최근에는 독서를 통해 어떤 점을 e스포츠에 접목시키고 인용할지 공부하고 있다. 기본 상식부터 다시 쌓으면서 체계적으로 준비하겠다.
-어떤 프로그램을 맡을 예정인가. ▶아직 정해진 바 없다.
-해설자로서의 각오나 목표는. ▶ 많은 분들이 내 진로에 대해 걱정해주셨다. Ongamenet에서 해설 자리를 내준다고 했을 때 정말 고마웠다. 많은 분들이 내게 보내준 걱정이 우려가 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고, 시청자들에게 정확한 정보, 새로운 재미를 전달하는 해설자가 되겠다.
they didn't say anything really special. i was reading through the stuff and they're all like "yeah i knew we were gonna win" "i'm really happy we won" and some talks about the games (which were pretty sub-par imh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