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승으로 8강에 올랐다. ▶아직 갈 길이 많이 남았다. 지금까지 팬들에게 좋은 모습을 보여드린 것 같아서 만족한다. 8강에서도 좋은 경기를 펼쳐 내가 목표로 한 4강에 가고 싶다. 만약 4강에 가면 목표는 당연히 우승으로 바뀔 것이다.
-힘들게 승리를 거뒀다. ▶ 앞선 2경기와 달리 실수를 너무 많이 했다. 특히 처음부터 넥서스를 잘못 지었다. 클릭하다가 넥서스를 한 칸 옆에 짓는 바람에 가스 뿐만 아니라 미네랄 채취까지 상당한 손해를 봤다. 특히 스톱 럴커가 뼈아팠다. 옵저버를 대동하지 않아 럴커에 너무 많이 피해를 입었다. 보통 프로토스를 상대로 스톱 럴커를 하지 않기 때문에 미처 생각하지 못했다.
-언제 승리를 예감했나. ▶지속적으로 견제를 해 준 게 승리의 요인인 것 같다. 후반에 다크 템플러로 다수의 드론을 잡아내며 이길 수 있다고 생각했다.
-예전에 머큐리에서 홍진호와 맞붙었던 경기와 비교하면 어느 경기가 힘들었나. ▶이 경기도 힘들었지만 진호형과의 경기가 더 힘들었다. 그 때는 이길 수 없다고 생각하고 마지막 한 타 싸움을 했는데 뚫어내며 힘들게 이길 수 있었다.
-패할 것 같다는 생각은 하지 않았나. ▶경기 중에 그런 생각도 했었다. 내가 병력을 모으지 않고 급하게 싸우다 보니 병력을 계속 잃었다. 자원은 많았는데 병력이 없어서 위험하다고 생각했다.
-누구와 연습했나. ▶같은 팀의 박준우, 배병우, 정명호, 고강민 외에도 나머지 저그 유저들과 연습했다. 밤 늦게까지 도와줘서 정말 고맙다.
-최근 임요환, 홍진호 등 올드 게이머들의 부활이 돋보인다. ▶ 비슷하게 프로게이머를 시작하고 지금까지도 게임을 하고 있기 때문에 감회가 남다르다. 진호형의 경우 한동안 침체돼 있었는데 최근 프로리그에서 이겨 너무 기뻤다. 꼭 이겨주길 바랬다. 인규형이 이겼을 때도 좋았다. 물론 요환이형이 영호를 이겼을 때는 안 좋았다(웃음). 올드 게이머도 중요하지만 팀이 더 중요하다.
-누구를 만나면 편할 것 같나. ▶영호를 피하고 싶다. 같은 팀이기도 하지만 확실히 잘하기 때문에 만나고 싶지 않다. 나머지 선수들은 큰 상관없다.
-이영호에 대해 한 마디. ▶지금도 잘하고 있고 앞으로도 잘할 선수다. 다만 잘할 때 계속 잘해야 최고의 자리에 오를 수 있다. 어느 정도 위치에 올랐다고 만족하면 안된다.
-최근 신예들의 약진이 돋보인다. 고참으로 그 선수들에게 조언을 해 준다면. ▶그런 기회가 흔치않다. 기회가 자주 찾아오지 않기 때문에 게임이 잘 될 때 더 열심히 해야 한다. 자기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열심히 해야 한다. 자기 만족만 하지 않는다면 롱런할 수 있을 것 같다.
-팬들에게 한 마디. ▶내가 저그전은 꼭 이기겠다고 말했는데 그 약속을 지킬 수 있게 돼 너무 기쁘다. 보는 입장에서는 어떤지 모르겠지만 완벽한 경기는 아니었다. 그래도 재미있게 보셨다니 만족한다. 다음에는 완성도는 물론 질 높은 경기를 하겠다.
this would be a ridicoulous amount of work. subtitling a video is a lot more pain than just translating an interview, i doubt that will happen.
i would be willing to translate a small part of it, if others would join for some kind of project. i have no experience on how to hardsub a video though.
deverlight did the subtitles for the whole 1st episode of starbrain (only the players tho, not the obs, which is fine). he didn't even seem to know how to do subtitles before he started. but apparently he's not around for the second episode. T_T
Well, I'd be willing to work with you guys in this translation team here if you wanna join in translating whatever this starbrain thing is. Fill me in on the details though, since I have no idea what's going on with this right now.
Could you explain why the commentators can't hold themselves from laughing here :-) Thanks.
Edit: ok it was now translated by tenishotshot, thanks :-)
The set was really long for these guys on the show. So, they needed to say more, but they simply didn't have more things to say.
So, the senior said: "Do I even need to say such things?" [laugh] Castor: "Since this is such a long broadcast, we'll take a break and take things from there."
Senior: "Ah, there's nothing to talk about!" Junior: "But still, we still need to talk!"
this would be a ridicoulous amount of work. subtitling a video is a lot more pain than just translating an interview, i doubt that will happen.
i would be willing to translate a small part of it, if others would join for some kind of project. i have no experience on how to hardsub a video though.
I have subtitled two VODs. They both took about 1 hour each. Too much time....
Unless we're getting paid, something like that cannot be done on a regular basis, since most of these guys don't have experience with subtitling.
On June 16 2007 14:10 ilovezil wrote: Well, I'd be willing to work with you guys in this translation team here if you wanna join in translating whatever this starbrain thing is. Fill me in on the details though, since I have no idea what's going on with this right now.
um.. lemme set something up with the translation team and i'll get things together.
It's almost summer for me so if you give me a small part to do for the StarBrain show, I'm willing to do it. I love that show ^_^ It's almost scary what experienced players know based on the things they see and the way they react according to their limited information. Throughout all the games, I was just going "wow..."
If you get on this, PM me with a part. It'd be interesting to try this =)
-3승으로 8강에 올랐다. ▶아직 갈 길이 많이 남았다. 지금까지 팬들에게 좋은 모습을 보여드린 것 같아서 만족한다. 8강에서도 좋은 경기를 펼쳐 내가 목표로 한 4강에 가고 싶다. 만약 4강에 가면 목표는 당연히 우승으로 바뀔 것이다.
-힘들게 승리를 거뒀다. ▶ 앞선 2경기와 달리 실수를 너무 많이 했다. 특히 처음부터 넥서스를 잘못 지었다. 클릭하다가 넥서스를 한 칸 옆에 짓는 바람에 가스 뿐만 아니라 미네랄 채취까지 상당한 손해를 봤다. 특히 스톱 럴커가 뼈아팠다. 옵저버를 대동하지 않아 럴커에 너무 많이 피해를 입었다. 보통 프로토스를 상대로 스톱 럴커를 하지 않기 때문에 미처 생각하지 못했다.
-언제 승리를 예감했나. ▶지속적으로 견제를 해 준 게 승리의 요인인 것 같다. 후반에 다크 템플러로 다수의 드론을 잡아내며 이길 수 있다고 생각했다.
-예전에 머큐리에서 홍진호와 맞붙었던 경기와 비교하면 어느 경기가 힘들었나. ▶이 경기도 힘들었지만 진호형과의 경기가 더 힘들었다. 그 때는 이길 수 없다고 생각하고 마지막 한 타 싸움을 했는데 뚫어내며 힘들게 이길 수 있었다.
-패할 것 같다는 생각은 하지 않았나. ▶경기 중에 그런 생각도 했었다. 내가 병력을 모으지 않고 급하게 싸우다 보니 병력을 계속 잃었다. 자원은 많았는데 병력이 없어서 위험하다고 생각했다.
-누구와 연습했나. ▶같은 팀의 박준우, 배병우, 정명호, 고강민 외에도 나머지 저그 유저들과 연습했다. 밤 늦게까지 도와줘서 정말 고맙다.
-최근 임요환, 홍진호 등 올드 게이머들의 부활이 돋보인다. ▶ 비슷하게 프로게이머를 시작하고 지금까지도 게임을 하고 있기 때문에 감회가 남다르다. 진호형의 경우 한동안 침체돼 있었는데 최근 프로리그에서 이겨 너무 기뻤다. 꼭 이겨주길 바랬다. 인규형이 이겼을 때도 좋았다. 물론 요환이형이 영호를 이겼을 때는 안 좋았다(웃음). 올드 게이머도 중요하지만 팀이 더 중요하다.
-누구를 만나면 편할 것 같나. ▶영호를 피하고 싶다. 같은 팀이기도 하지만 확실히 잘하기 때문에 만나고 싶지 않다. 나머지 선수들은 큰 상관없다.
-이영호에 대해 한 마디. ▶지금도 잘하고 있고 앞으로도 잘할 선수다. 다만 잘할 때 계속 잘해야 최고의 자리에 오를 수 있다. 어느 정도 위치에 올랐다고 만족하면 안된다.
-최근 신예들의 약진이 돋보인다. 고참으로 그 선수들에게 조언을 해 준다면. ▶그런 기회가 흔치않다. 기회가 자주 찾아오지 않기 때문에 게임이 잘 될 때 더 열심히 해야 한다. 자기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열심히 해야 한다. 자기 만족만 하지 않는다면 롱런할 수 있을 것 같다.
-팬들에게 한 마디. ▶내가 저그전은 꼭 이기겠다고 말했는데 그 약속을 지킬 수 있게 돼 너무 기쁘다. 보는 입장에서는 어떤지 모르겠지만 완벽한 경기는 아니었다. 그래도 재미있게 보셨다니 만족한다. 다음에는 완성도는 물론 질 높은 경기를 하겠다.
Also, the 2nd part of this video, is the ending clip of Iris-Stork semi-finals broadcast, with some words from both players before the games, would be great if it was translated :-)
That first commercial is a remake of those adidas commercials you might now, like those:
Anyway, it goes (a little) something like this:
Hello, I am Kim Keri(?). This is my story. Sometimes I still think about my curse. It would have been good If I just hadn't said anything, I really wish. Everywhere I went people were giving me these sharp looks, as if the results of the games were my fault. But then finally, when Nada won the golden mouse, my curse was lifted. Although Anytime lost and my love "Carrier" wasn't in the spotlight, my prediction came true. I say this only to you, but without Carriers it's really hard after all. Kim Keri's curse is nothing. (impossible is nothing).
That guy is one of OGN's commentators, his name is Kim Tae Hyung. The fans always mock him because he's in love with Carriers and always used to insist that the only way for a P player to win was with Carriers. So, he got the nickname of Kim Kaeri (as in Kae-Ri-Uh, Carrier with a Korean accent)
And some of you guys might remember him from the early, early days of SC. His ID was Rainbow[ROK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