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ungary11270 Posts
On August 22 2009 06:07 l10f wrote:According to this Fomos article posted yesterday + Show Spoiler [article] + e스포츠 최초의 자유계약선수(Free Agent, 이하 FA) 제도가 이번에는 ‘총액 최고가 낙찰’이라는 제도로 FA 선언의 발목을 잡았다.
FA 자격을 획득한 선수들은 지난 12일부터 원소속 프로게임단과 우선 협상을 시작해 마감시한인 20일까지 계약에 대해 협의를 진행했다. 이에 따라 총 39명의 FA 대상자 가운데 32명의 선수가 원소속팀에 잔류하기로 결정했고, 화승 이제동, 하이트 김창희, SK텔레콤 전상욱, MBC게임 고석현, KT 안상원 등 다섯 명의 선수가 FA를 선언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총액 최고가 낙찰’이 선수들의 FA를 선언을 가로 막은 것으로 보인다. ‘총액 최고가 낙찰’ 이란 쉽게 설명하면 FA를 선언한 선수를 영입하려는 프로게임단의 입찰 및 응찰을 진행함에 있어 계약기간에 관계없이 가장 높은 금액을 제시한 프로게임단이 낙찰을 받는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A선수가 FA를 선언했을 경우 B프로게임단에서 1년 계약에 연봉 5천만원, C프로게임단에서 2년 계약에 연봉 총액 8천만원, D프로게임단에서 3년 계약에 연봉 총액 9천만원을 제시했을 경우 선수는 총액이 가장 큰 D프로게임단으로 입단하게 된다.
이를 1년 단위 연봉으로 환산했을 경우 B프로게임단 5천만원, C프로게임단 4천만원, D프로게임단 3천만원이 되며 선수는 1년 단위 연봉이 가장 적음에도 불구하고 총액이 많다는 이유만으로 D프로게임단으로 이적해야 한다.
실제로 A선수의 경우 FA를 선언했다가 원소속 프로게임단에서 이런 내용을 설명 받고 전격적으로 FA 선언을 포기하기에 이르렀다.
‘ 총액 최고가 낙찰’은 FA를 선언한 선수를 영입하는 과정에서도 이슈가 될 전망이다. FA 선수의 영입을 원하는 프로게임단이 계약기간이나 제시 금액과 관련해 치열한 눈치 싸움을 펼치고 이를 교묘하게 활용할 경우 더 적은 금액을 제시하고도 오랜 기간 동안 선수를 보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선수가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최고가를 제시한 프로게임단과 계약하거나 이를 거부하고 원소속 프로게임단과 재협상을 하는 것뿐이다.
이는 지난 14일 FA 선수 입찰 과정에서 입찰 및 응찰의 과정에서 복수의 프로게임단이 입찰했을 때 선수가 입찰한 프로게임단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가장 높은 금액으로 입찰한 프로게임단과 계약을 해야 한다고 발표했던 조항보다 더욱 충격적인 내용이며 FA를 완벽하게 Free Auction으로 전락시켜 버렸다.
‘총액 최고가 낙찰’ 역시 전략위원회에서 논의를 거쳐 결정한 것으로 당시 회의에 참가했던 한 관계자는 “선수들이 기간에 관계없이 가장 많은 연봉을 보장하는 프로게임단에 입단할 수 있도록 만든 제도”라고 밝히고 있지만 이는 상식적인 관점에서 판단해도 쉽게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다.
지난번 최고 입찰 프로게임단과의 무조건 계약한다는 조항 발표로 인해 Free Agent가 아닌 Free Auction이라는 비아냥을 들었던 e스포츠 최초의 FA 제도가 이번에는 쉽게 이해가 되지도 않은 이상한 제도를 통해 숱한 문제와 잡음을 노출시키고 있다.
한편, 이번 FA 대상자 가운데 다년 계약을 체결할 경우는 최대 3년까지만 계약이 가능하며, 현재까지 밝혀진 바에 따르면 다년 계약을 통해 팀에 잔류한 선수는 한 명도 없다.
, not only does a player MUST negotiate with the team that bids the highest amount (this was already discussed), the player has to negotiate with the team that bids the highest TOTAL amount over X amount of years. This means that if Team A offers Player A 100 Million Won for one year, and Team B offers 110 Million Won for over two years (55M each year), Player A must negotiate with team B even though he would only earn 55 Million per year. That means the player is losing 45 Million Won in the first year he could have earned by negotiating with team A. Tell me what you would choose. 100 Million in one year or 110 Million in two years. It can get worse, maybe a team offering 110 Million for three years vs 100 Million in one year. The first team would still get the player, even though their pay is a lot worse. I read no Korean, but this absolutely makes no sense. It might be that he has to rather negotiate with a team that bids 100 mil / year over 4 years than with a team that bids 100 mil /year over 3 years, but the other version is totally unbelievable.
|
On August 22 2009 06:20 GTR wrote:Show nested quote +On August 22 2009 06:07 l10f wrote:According to this Fomos article posted yesterday + Show Spoiler [article] + e스포츠 최초의 자유계약선수(Free Agent, 이하 FA) 제도가 이번에는 ‘총액 최고가 낙찰’이라는 제도로 FA 선언의 발목을 잡았다.
FA 자격을 획득한 선수들은 지난 12일부터 원소속 프로게임단과 우선 협상을 시작해 마감시한인 20일까지 계약에 대해 협의를 진행했다. 이에 따라 총 39명의 FA 대상자 가운데 32명의 선수가 원소속팀에 잔류하기로 결정했고, 화승 이제동, 하이트 김창희, SK텔레콤 전상욱, MBC게임 고석현, KT 안상원 등 다섯 명의 선수가 FA를 선언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총액 최고가 낙찰’이 선수들의 FA를 선언을 가로 막은 것으로 보인다. ‘총액 최고가 낙찰’ 이란 쉽게 설명하면 FA를 선언한 선수를 영입하려는 프로게임단의 입찰 및 응찰을 진행함에 있어 계약기간에 관계없이 가장 높은 금액을 제시한 프로게임단이 낙찰을 받는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A선수가 FA를 선언했을 경우 B프로게임단에서 1년 계약에 연봉 5천만원, C프로게임단에서 2년 계약에 연봉 총액 8천만원, D프로게임단에서 3년 계약에 연봉 총액 9천만원을 제시했을 경우 선수는 총액이 가장 큰 D프로게임단으로 입단하게 된다.
이를 1년 단위 연봉으로 환산했을 경우 B프로게임단 5천만원, C프로게임단 4천만원, D프로게임단 3천만원이 되며 선수는 1년 단위 연봉이 가장 적음에도 불구하고 총액이 많다는 이유만으로 D프로게임단으로 이적해야 한다.
실제로 A선수의 경우 FA를 선언했다가 원소속 프로게임단에서 이런 내용을 설명 받고 전격적으로 FA 선언을 포기하기에 이르렀다.
‘ 총액 최고가 낙찰’은 FA를 선언한 선수를 영입하는 과정에서도 이슈가 될 전망이다. FA 선수의 영입을 원하는 프로게임단이 계약기간이나 제시 금액과 관련해 치열한 눈치 싸움을 펼치고 이를 교묘하게 활용할 경우 더 적은 금액을 제시하고도 오랜 기간 동안 선수를 보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선수가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최고가를 제시한 프로게임단과 계약하거나 이를 거부하고 원소속 프로게임단과 재협상을 하는 것뿐이다.
이는 지난 14일 FA 선수 입찰 과정에서 입찰 및 응찰의 과정에서 복수의 프로게임단이 입찰했을 때 선수가 입찰한 프로게임단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가장 높은 금액으로 입찰한 프로게임단과 계약을 해야 한다고 발표했던 조항보다 더욱 충격적인 내용이며 FA를 완벽하게 Free Auction으로 전락시켜 버렸다.
‘총액 최고가 낙찰’ 역시 전략위원회에서 논의를 거쳐 결정한 것으로 당시 회의에 참가했던 한 관계자는 “선수들이 기간에 관계없이 가장 많은 연봉을 보장하는 프로게임단에 입단할 수 있도록 만든 제도”라고 밝히고 있지만 이는 상식적인 관점에서 판단해도 쉽게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다.
지난번 최고 입찰 프로게임단과의 무조건 계약한다는 조항 발표로 인해 Free Agent가 아닌 Free Auction이라는 비아냥을 들었던 e스포츠 최초의 FA 제도가 이번에는 쉽게 이해가 되지도 않은 이상한 제도를 통해 숱한 문제와 잡음을 노출시키고 있다.
한편, 이번 FA 대상자 가운데 다년 계약을 체결할 경우는 최대 3년까지만 계약이 가능하며, 현재까지 밝혀진 바에 따르면 다년 계약을 통해 팀에 잔류한 선수는 한 명도 없다.
, not only does a player MUST negotiate with the team that bids the highest amount (this was already discussed), the player has to negotiate with the team that bids the highest TOTAL amount over X amount of years. This means that if Team A offers Player A 100 Million Won for one year, and Team B offers 110 Million Won for over two years (55M each year), Player A must negotiate with team B even though he would only earn 55 Million per year. That means the player is losing 45 Million Won in the first year he could have earned by negotiating with team A. Tell me what you would choose. 100 Million in one year or 110 Million in two years. It can get worse, maybe a team offering 110 Million for three years vs 100 Million in one year. The first team would still get the player, even though their pay is a lot worse. keyword: negotiate which means they can change conditions of the contract
And when you, as a player, have nothing left stopping them from reducing your contract, what happens?
|
l10f
United States3241 Posts
On August 22 2009 06:20 Aesop wrote:Show nested quote +On August 22 2009 06:07 l10f wrote:According to this Fomos article posted yesterday + Show Spoiler [article] + e스포츠 최초의 자유계약선수(Free Agent, 이하 FA) 제도가 이번에는 ‘총액 최고가 낙찰’이라는 제도로 FA 선언의 발목을 잡았다.
FA 자격을 획득한 선수들은 지난 12일부터 원소속 프로게임단과 우선 협상을 시작해 마감시한인 20일까지 계약에 대해 협의를 진행했다. 이에 따라 총 39명의 FA 대상자 가운데 32명의 선수가 원소속팀에 잔류하기로 결정했고, 화승 이제동, 하이트 김창희, SK텔레콤 전상욱, MBC게임 고석현, KT 안상원 등 다섯 명의 선수가 FA를 선언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총액 최고가 낙찰’이 선수들의 FA를 선언을 가로 막은 것으로 보인다. ‘총액 최고가 낙찰’ 이란 쉽게 설명하면 FA를 선언한 선수를 영입하려는 프로게임단의 입찰 및 응찰을 진행함에 있어 계약기간에 관계없이 가장 높은 금액을 제시한 프로게임단이 낙찰을 받는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A선수가 FA를 선언했을 경우 B프로게임단에서 1년 계약에 연봉 5천만원, C프로게임단에서 2년 계약에 연봉 총액 8천만원, D프로게임단에서 3년 계약에 연봉 총액 9천만원을 제시했을 경우 선수는 총액이 가장 큰 D프로게임단으로 입단하게 된다.
이를 1년 단위 연봉으로 환산했을 경우 B프로게임단 5천만원, C프로게임단 4천만원, D프로게임단 3천만원이 되며 선수는 1년 단위 연봉이 가장 적음에도 불구하고 총액이 많다는 이유만으로 D프로게임단으로 이적해야 한다.
실제로 A선수의 경우 FA를 선언했다가 원소속 프로게임단에서 이런 내용을 설명 받고 전격적으로 FA 선언을 포기하기에 이르렀다.
‘ 총액 최고가 낙찰’은 FA를 선언한 선수를 영입하는 과정에서도 이슈가 될 전망이다. FA 선수의 영입을 원하는 프로게임단이 계약기간이나 제시 금액과 관련해 치열한 눈치 싸움을 펼치고 이를 교묘하게 활용할 경우 더 적은 금액을 제시하고도 오랜 기간 동안 선수를 보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선수가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최고가를 제시한 프로게임단과 계약하거나 이를 거부하고 원소속 프로게임단과 재협상을 하는 것뿐이다.
이는 지난 14일 FA 선수 입찰 과정에서 입찰 및 응찰의 과정에서 복수의 프로게임단이 입찰했을 때 선수가 입찰한 프로게임단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가장 높은 금액으로 입찰한 프로게임단과 계약을 해야 한다고 발표했던 조항보다 더욱 충격적인 내용이며 FA를 완벽하게 Free Auction으로 전락시켜 버렸다.
‘총액 최고가 낙찰’ 역시 전략위원회에서 논의를 거쳐 결정한 것으로 당시 회의에 참가했던 한 관계자는 “선수들이 기간에 관계없이 가장 많은 연봉을 보장하는 프로게임단에 입단할 수 있도록 만든 제도”라고 밝히고 있지만 이는 상식적인 관점에서 판단해도 쉽게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다.
지난번 최고 입찰 프로게임단과의 무조건 계약한다는 조항 발표로 인해 Free Agent가 아닌 Free Auction이라는 비아냥을 들었던 e스포츠 최초의 FA 제도가 이번에는 쉽게 이해가 되지도 않은 이상한 제도를 통해 숱한 문제와 잡음을 노출시키고 있다.
한편, 이번 FA 대상자 가운데 다년 계약을 체결할 경우는 최대 3년까지만 계약이 가능하며, 현재까지 밝혀진 바에 따르면 다년 계약을 통해 팀에 잔류한 선수는 한 명도 없다.
, not only does a player MUST negotiate with the team that bids the highest amount (this was already discussed), the player has to negotiate with the team that bids the highest TOTAL amount over X amount of years. This means that if Team A offers Player A 100 Million Won for one year, and Team B offers 110 Million Won for over two years (55M each year), Player A must negotiate with team B even though he would only earn 55 Million per year. That means the player is losing 45 Million Won in the first year he could have earned by negotiating with team A. Tell me what you would choose. 100 Million in one year or 110 Million in two years. It can get worse, maybe a team offering 110 Million for three years vs 100 Million in one year. The first team would still get the player, even though their pay is a lot worse. I read no Korean, but this absolutely makes no sense. It might be that he has to rather negotiate with a team that bids 100 mil / year over 4 years than with a team that bids 100 mil /year over 3 years, but the other version is totally unbelievable.
It makes no sense. Yes. But sadly it's true.
+ Show Spoiler +예를 들어 A선수가 FA를 선언했을 경우 B프로게임단에서 1년 계약에 연봉 5천만원, C프로게임단에서 2년 계약에 연봉 총액 8천만원, D프로게임단에서 3년 계약에 연봉 총액 9천만원을 제시했을 경우 선수는 총액이 가장 큰 D프로게임단으로 입단하게 된다.
이를 1년 단위 연봉으로 환산했을 경우 B프로게임단 5천만원, C프로게임단 4천만원, D프로게임단 3천만원이 되며 선수는 1년 단위 연봉이 가장 적음에도 불구하고 총액이 많다는 이유만으로 D프로게임단으로 이적해야 한다. Fomos gives us an example in that part of the article
"If Player A gets offers of 50M for one year, 80M for two years, 90M for three years, The player goes into the third team.
If we calculate this to money/year, player A would get 50M/year in the first team, 40M/year in 2nd team, 30M/year on 3rd team but the player can only negotiate with the third team because the total pay over X years is the highest for team 3"
|
On August 22 2009 06:30 l10f wrote:Show nested quote +On August 22 2009 06:20 Aesop wrote:On August 22 2009 06:07 l10f wrote:According to this Fomos article posted yesterday + Show Spoiler [article] + e스포츠 최초의 자유계약선수(Free Agent, 이하 FA) 제도가 이번에는 ‘총액 최고가 낙찰’이라는 제도로 FA 선언의 발목을 잡았다.
FA 자격을 획득한 선수들은 지난 12일부터 원소속 프로게임단과 우선 협상을 시작해 마감시한인 20일까지 계약에 대해 협의를 진행했다. 이에 따라 총 39명의 FA 대상자 가운데 32명의 선수가 원소속팀에 잔류하기로 결정했고, 화승 이제동, 하이트 김창희, SK텔레콤 전상욱, MBC게임 고석현, KT 안상원 등 다섯 명의 선수가 FA를 선언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총액 최고가 낙찰’이 선수들의 FA를 선언을 가로 막은 것으로 보인다. ‘총액 최고가 낙찰’ 이란 쉽게 설명하면 FA를 선언한 선수를 영입하려는 프로게임단의 입찰 및 응찰을 진행함에 있어 계약기간에 관계없이 가장 높은 금액을 제시한 프로게임단이 낙찰을 받는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A선수가 FA를 선언했을 경우 B프로게임단에서 1년 계약에 연봉 5천만원, C프로게임단에서 2년 계약에 연봉 총액 8천만원, D프로게임단에서 3년 계약에 연봉 총액 9천만원을 제시했을 경우 선수는 총액이 가장 큰 D프로게임단으로 입단하게 된다.
이를 1년 단위 연봉으로 환산했을 경우 B프로게임단 5천만원, C프로게임단 4천만원, D프로게임단 3천만원이 되며 선수는 1년 단위 연봉이 가장 적음에도 불구하고 총액이 많다는 이유만으로 D프로게임단으로 이적해야 한다.
실제로 A선수의 경우 FA를 선언했다가 원소속 프로게임단에서 이런 내용을 설명 받고 전격적으로 FA 선언을 포기하기에 이르렀다.
‘ 총액 최고가 낙찰’은 FA를 선언한 선수를 영입하는 과정에서도 이슈가 될 전망이다. FA 선수의 영입을 원하는 프로게임단이 계약기간이나 제시 금액과 관련해 치열한 눈치 싸움을 펼치고 이를 교묘하게 활용할 경우 더 적은 금액을 제시하고도 오랜 기간 동안 선수를 보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선수가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최고가를 제시한 프로게임단과 계약하거나 이를 거부하고 원소속 프로게임단과 재협상을 하는 것뿐이다.
이는 지난 14일 FA 선수 입찰 과정에서 입찰 및 응찰의 과정에서 복수의 프로게임단이 입찰했을 때 선수가 입찰한 프로게임단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가장 높은 금액으로 입찰한 프로게임단과 계약을 해야 한다고 발표했던 조항보다 더욱 충격적인 내용이며 FA를 완벽하게 Free Auction으로 전락시켜 버렸다.
‘총액 최고가 낙찰’ 역시 전략위원회에서 논의를 거쳐 결정한 것으로 당시 회의에 참가했던 한 관계자는 “선수들이 기간에 관계없이 가장 많은 연봉을 보장하는 프로게임단에 입단할 수 있도록 만든 제도”라고 밝히고 있지만 이는 상식적인 관점에서 판단해도 쉽게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다.
지난번 최고 입찰 프로게임단과의 무조건 계약한다는 조항 발표로 인해 Free Agent가 아닌 Free Auction이라는 비아냥을 들었던 e스포츠 최초의 FA 제도가 이번에는 쉽게 이해가 되지도 않은 이상한 제도를 통해 숱한 문제와 잡음을 노출시키고 있다.
한편, 이번 FA 대상자 가운데 다년 계약을 체결할 경우는 최대 3년까지만 계약이 가능하며, 현재까지 밝혀진 바에 따르면 다년 계약을 통해 팀에 잔류한 선수는 한 명도 없다.
, not only does a player MUST negotiate with the team that bids the highest amount (this was already discussed), the player has to negotiate with the team that bids the highest TOTAL amount over X amount of years. This means that if Team A offers Player A 100 Million Won for one year, and Team B offers 110 Million Won for over two years (55M each year), Player A must negotiate with team B even though he would only earn 55 Million per year. That means the player is losing 45 Million Won in the first year he could have earned by negotiating with team A. Tell me what you would choose. 100 Million in one year or 110 Million in two years. It can get worse, maybe a team offering 110 Million for three years vs 100 Million in one year. The first team would still get the player, even though their pay is a lot worse. I read no Korean, but this absolutely makes no sense. It might be that he has to rather negotiate with a team that bids 100 mil / year over 4 years than with a team that bids 100 mil /year over 3 years, but the other version is totally unbelievable. It makes no sense. Yes. But sadly it's true. + Show Spoiler +예를 들어 A선수가 FA를 선언했을 경우 B프로게임단에서 1년 계약에 연봉 5천만원, C프로게임단에서 2년 계약에 연봉 총액 8천만원, D프로게임단에서 3년 계약에 연봉 총액 9천만원을 제시했을 경우 선수는 총액이 가장 큰 D프로게임단으로 입단하게 된다.
이를 1년 단위 연봉으로 환산했을 경우 B프로게임단 5천만원, C프로게임단 4천만원, D프로게임단 3천만원이 되며 선수는 1년 단위 연봉이 가장 적음에도 불구하고 총액이 많다는 이유만으로 D프로게임단으로 이적해야 한다. Fomos gives us an example in that part of the article "If Player A gets offers of 50M for one year, 80M for two years, 90M for three years, The player goes into the third team. If we calculate this to money/year, player A would get 50M/year in the first team, 40M/year in 2nd team, 30M/year on 3rd team but the player can only negotiate with the third team because the total pay over X years is the highest for team 3" Who thinks this stuff up? Fire imo. Someone is going to offer Jaedong 200mil over the course of 10 years or something.
|
WoW im going to do my own SC Pro Korean team with Jaedong as frontman... I will offer him 100.000.000.000 Won but over 2000years ... he cant reject my offer =D Now I only need Shine, Midas and me =D
|
Hungary11270 Posts
Well, coming to think about this, maybe it isn't all that bad. This encourages the teams to offer 3-5 year contracts with a decent salary. So while the regulations sound bad, the competition might resolve it.
|
l10f
United States3241 Posts
On August 22 2009 06:45 Shikyo wrote:Show nested quote +On August 22 2009 06:30 l10f wrote:On August 22 2009 06:20 Aesop wrote:On August 22 2009 06:07 l10f wrote:According to this Fomos article posted yesterday + Show Spoiler [article] + e스포츠 최초의 자유계약선수(Free Agent, 이하 FA) 제도가 이번에는 ‘총액 최고가 낙찰’이라는 제도로 FA 선언의 발목을 잡았다.
FA 자격을 획득한 선수들은 지난 12일부터 원소속 프로게임단과 우선 협상을 시작해 마감시한인 20일까지 계약에 대해 협의를 진행했다. 이에 따라 총 39명의 FA 대상자 가운데 32명의 선수가 원소속팀에 잔류하기로 결정했고, 화승 이제동, 하이트 김창희, SK텔레콤 전상욱, MBC게임 고석현, KT 안상원 등 다섯 명의 선수가 FA를 선언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총액 최고가 낙찰’이 선수들의 FA를 선언을 가로 막은 것으로 보인다. ‘총액 최고가 낙찰’ 이란 쉽게 설명하면 FA를 선언한 선수를 영입하려는 프로게임단의 입찰 및 응찰을 진행함에 있어 계약기간에 관계없이 가장 높은 금액을 제시한 프로게임단이 낙찰을 받는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A선수가 FA를 선언했을 경우 B프로게임단에서 1년 계약에 연봉 5천만원, C프로게임단에서 2년 계약에 연봉 총액 8천만원, D프로게임단에서 3년 계약에 연봉 총액 9천만원을 제시했을 경우 선수는 총액이 가장 큰 D프로게임단으로 입단하게 된다.
이를 1년 단위 연봉으로 환산했을 경우 B프로게임단 5천만원, C프로게임단 4천만원, D프로게임단 3천만원이 되며 선수는 1년 단위 연봉이 가장 적음에도 불구하고 총액이 많다는 이유만으로 D프로게임단으로 이적해야 한다.
실제로 A선수의 경우 FA를 선언했다가 원소속 프로게임단에서 이런 내용을 설명 받고 전격적으로 FA 선언을 포기하기에 이르렀다.
‘ 총액 최고가 낙찰’은 FA를 선언한 선수를 영입하는 과정에서도 이슈가 될 전망이다. FA 선수의 영입을 원하는 프로게임단이 계약기간이나 제시 금액과 관련해 치열한 눈치 싸움을 펼치고 이를 교묘하게 활용할 경우 더 적은 금액을 제시하고도 오랜 기간 동안 선수를 보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선수가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최고가를 제시한 프로게임단과 계약하거나 이를 거부하고 원소속 프로게임단과 재협상을 하는 것뿐이다.
이는 지난 14일 FA 선수 입찰 과정에서 입찰 및 응찰의 과정에서 복수의 프로게임단이 입찰했을 때 선수가 입찰한 프로게임단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가장 높은 금액으로 입찰한 프로게임단과 계약을 해야 한다고 발표했던 조항보다 더욱 충격적인 내용이며 FA를 완벽하게 Free Auction으로 전락시켜 버렸다.
‘총액 최고가 낙찰’ 역시 전략위원회에서 논의를 거쳐 결정한 것으로 당시 회의에 참가했던 한 관계자는 “선수들이 기간에 관계없이 가장 많은 연봉을 보장하는 프로게임단에 입단할 수 있도록 만든 제도”라고 밝히고 있지만 이는 상식적인 관점에서 판단해도 쉽게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다.
지난번 최고 입찰 프로게임단과의 무조건 계약한다는 조항 발표로 인해 Free Agent가 아닌 Free Auction이라는 비아냥을 들었던 e스포츠 최초의 FA 제도가 이번에는 쉽게 이해가 되지도 않은 이상한 제도를 통해 숱한 문제와 잡음을 노출시키고 있다.
한편, 이번 FA 대상자 가운데 다년 계약을 체결할 경우는 최대 3년까지만 계약이 가능하며, 현재까지 밝혀진 바에 따르면 다년 계약을 통해 팀에 잔류한 선수는 한 명도 없다.
, not only does a player MUST negotiate with the team that bids the highest amount (this was already discussed), the player has to negotiate with the team that bids the highest TOTAL amount over X amount of years. This means that if Team A offers Player A 100 Million Won for one year, and Team B offers 110 Million Won for over two years (55M each year), Player A must negotiate with team B even though he would only earn 55 Million per year. That means the player is losing 45 Million Won in the first year he could have earned by negotiating with team A. Tell me what you would choose. 100 Million in one year or 110 Million in two years. It can get worse, maybe a team offering 110 Million for three years vs 100 Million in one year. The first team would still get the player, even though their pay is a lot worse. I read no Korean, but this absolutely makes no sense. It might be that he has to rather negotiate with a team that bids 100 mil / year over 4 years than with a team that bids 100 mil /year over 3 years, but the other version is totally unbelievable. It makes no sense. Yes. But sadly it's true. + Show Spoiler +예를 들어 A선수가 FA를 선언했을 경우 B프로게임단에서 1년 계약에 연봉 5천만원, C프로게임단에서 2년 계약에 연봉 총액 8천만원, D프로게임단에서 3년 계약에 연봉 총액 9천만원을 제시했을 경우 선수는 총액이 가장 큰 D프로게임단으로 입단하게 된다.
이를 1년 단위 연봉으로 환산했을 경우 B프로게임단 5천만원, C프로게임단 4천만원, D프로게임단 3천만원이 되며 선수는 1년 단위 연봉이 가장 적음에도 불구하고 총액이 많다는 이유만으로 D프로게임단으로 이적해야 한다. Fomos gives us an example in that part of the article "If Player A gets offers of 50M for one year, 80M for two years, 90M for three years, The player goes into the third team. If we calculate this to money/year, player A would get 50M/year in the first team, 40M/year in 2nd team, 30M/year on 3rd team but the player can only negotiate with the third team because the total pay over X years is the highest for team 3" Who thinks this stuff up? Fire imo. Someone is going to offer Jaedong 200mil over the course of 10 years or something.
Jaedong can decide to deny that and stay with Hwaseung.
|
On August 22 2009 06:54 Aesop wrote: Well, coming to think about this, maybe it isn't all that bad. This encourages the teams to offer 3-5 year contracts with a decent salary. So while the regulations sound bad, the competition might resolve it. Wow, that's a great point. Though it's still pretty stupid. I think if there was a plan to this, it must've been to prevent one-year contracts. If they didn't do this players could go FA every year to see who's willing to pay the most that year.
Still, what's preventing companies from just offering ₩1,000,000,000 for 50 years or something even more ridiculous (offer to pay JD and five generations of his descendants ₩10 a month?), to basically game the system?
|
On August 22 2009 06:20 GTR wrote:Show nested quote +On August 22 2009 06:07 l10f wrote:According to this Fomos article posted yesterday + Show Spoiler [article] + e스포츠 최초의 자유계약선수(Free Agent, 이하 FA) 제도가 이번에는 ‘총액 최고가 낙찰’이라는 제도로 FA 선언의 발목을 잡았다.
FA 자격을 획득한 선수들은 지난 12일부터 원소속 프로게임단과 우선 협상을 시작해 마감시한인 20일까지 계약에 대해 협의를 진행했다. 이에 따라 총 39명의 FA 대상자 가운데 32명의 선수가 원소속팀에 잔류하기로 결정했고, 화승 이제동, 하이트 김창희, SK텔레콤 전상욱, MBC게임 고석현, KT 안상원 등 다섯 명의 선수가 FA를 선언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총액 최고가 낙찰’이 선수들의 FA를 선언을 가로 막은 것으로 보인다. ‘총액 최고가 낙찰’ 이란 쉽게 설명하면 FA를 선언한 선수를 영입하려는 프로게임단의 입찰 및 응찰을 진행함에 있어 계약기간에 관계없이 가장 높은 금액을 제시한 프로게임단이 낙찰을 받는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A선수가 FA를 선언했을 경우 B프로게임단에서 1년 계약에 연봉 5천만원, C프로게임단에서 2년 계약에 연봉 총액 8천만원, D프로게임단에서 3년 계약에 연봉 총액 9천만원을 제시했을 경우 선수는 총액이 가장 큰 D프로게임단으로 입단하게 된다.
이를 1년 단위 연봉으로 환산했을 경우 B프로게임단 5천만원, C프로게임단 4천만원, D프로게임단 3천만원이 되며 선수는 1년 단위 연봉이 가장 적음에도 불구하고 총액이 많다는 이유만으로 D프로게임단으로 이적해야 한다.
실제로 A선수의 경우 FA를 선언했다가 원소속 프로게임단에서 이런 내용을 설명 받고 전격적으로 FA 선언을 포기하기에 이르렀다.
‘ 총액 최고가 낙찰’은 FA를 선언한 선수를 영입하는 과정에서도 이슈가 될 전망이다. FA 선수의 영입을 원하는 프로게임단이 계약기간이나 제시 금액과 관련해 치열한 눈치 싸움을 펼치고 이를 교묘하게 활용할 경우 더 적은 금액을 제시하고도 오랜 기간 동안 선수를 보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선수가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최고가를 제시한 프로게임단과 계약하거나 이를 거부하고 원소속 프로게임단과 재협상을 하는 것뿐이다.
이는 지난 14일 FA 선수 입찰 과정에서 입찰 및 응찰의 과정에서 복수의 프로게임단이 입찰했을 때 선수가 입찰한 프로게임단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가장 높은 금액으로 입찰한 프로게임단과 계약을 해야 한다고 발표했던 조항보다 더욱 충격적인 내용이며 FA를 완벽하게 Free Auction으로 전락시켜 버렸다.
‘총액 최고가 낙찰’ 역시 전략위원회에서 논의를 거쳐 결정한 것으로 당시 회의에 참가했던 한 관계자는 “선수들이 기간에 관계없이 가장 많은 연봉을 보장하는 프로게임단에 입단할 수 있도록 만든 제도”라고 밝히고 있지만 이는 상식적인 관점에서 판단해도 쉽게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다.
지난번 최고 입찰 프로게임단과의 무조건 계약한다는 조항 발표로 인해 Free Agent가 아닌 Free Auction이라는 비아냥을 들었던 e스포츠 최초의 FA 제도가 이번에는 쉽게 이해가 되지도 않은 이상한 제도를 통해 숱한 문제와 잡음을 노출시키고 있다.
한편, 이번 FA 대상자 가운데 다년 계약을 체결할 경우는 최대 3년까지만 계약이 가능하며, 현재까지 밝혀진 바에 따르면 다년 계약을 통해 팀에 잔류한 선수는 한 명도 없다.
, not only does a player MUST negotiate with the team that bids the highest amount (this was already discussed), the player has to negotiate with the team that bids the highest TOTAL amount over X amount of years. This means that if Team A offers Player A 100 Million Won for one year, and Team B offers 110 Million Won for over two years (55M each year), Player A must negotiate with team B even though he would only earn 55 Million per year. That means the player is losing 45 Million Won in the first year he could have earned by negotiating with team A. Tell me what you would choose. 100 Million in one year or 110 Million in two years. It can get worse, maybe a team offering 110 Million for three years vs 100 Million in one year. The first team would still get the player, even though their pay is a lot worse. keyword: negotiate which means they can change conditions of the contract
Indeed.
|
In the above example, if the companies are smart and actually want Jaedong, they would do
Company 1 offers 150M for 3 years Company 2 offers 120M for 3 years Company 3 offers 90M for 3 years.
Then if Company 3 really wants Jaedong and screw the FA system, they might do
Company 3 offers 200M for 10 years.
But then Company 1, 2 will be smart and just up their year count:
Company 1 offers 300M for 6 years Company 2 offers 240M for 6 years Company 3 offers 200M for 10 years
In the end, it ends up being pretty logical, and actually, if companies are devious enough to try to game the system, they just end up having to give the player a lifetime contract (not bad imo).
|
On August 22 2009 07:11 StRyKeR wrote: In the above example, if the companies are smart and actually want Jaedong, they would do
Company 1 offers 150M for 3 years Company 2 offers 120M for 3 years Company 3 offers 90M for 3 years.
Then if Company 3 really wants Jaedong and screw the FA system, they might do
Company 3 offers 200M for 10 years.
But then Company 1, 2 will be smart and just up their year count:
Company 1 offers 300M for 6 years Company 2 offers 240M for 6 years Company 3 offers 200M for 10 years
In the end, it ends up being pretty logical, and actually, if companies are devious enough to try to game the system, they just end up having to give the player a lifetime contract (not bad imo). Remember the contract has to be good enough to be accepted by Jaedong.
|
On August 22 2009 07:09 nadafanboy42 wrote:Show nested quote +On August 22 2009 06:54 Aesop wrote: Well, coming to think about this, maybe it isn't all that bad. This encourages the teams to offer 3-5 year contracts with a decent salary. So while the regulations sound bad, the competition might resolve it. Wow, that's a great point. Though it's still pretty stupid. I think if there was a plan to this, it must've been to prevent one-year contracts. If they didn't do this players could go FA every year to see who's willing to pay the most that year. Still, what's preventing companies from just offering ₩1,000,000,000 for 50 years or something even more ridiculous (offer to pay JD and five generations of his descendants ₩10 a month?), to basically game the system? This basically just robs the players of more money.
|
On August 22 2009 07:09 nadafanboy42 wrote:Show nested quote +On August 22 2009 06:54 Aesop wrote: Well, coming to think about this, maybe it isn't all that bad. This encourages the teams to offer 3-5 year contracts with a decent salary. So while the regulations sound bad, the competition might resolve it. Wow, that's a great point. Though it's still pretty stupid. I think if there was a plan to this, it must've been to prevent one-year contracts. If they didn't do this players could go FA every year to see who's willing to pay the most that year. Still, what's preventing companies from just offering ₩1,000,000,000 for 50 years or something even more ridiculous (offer to pay JD and five generations of his descendants ₩10 a month?), to basically game the system? They have to negotiate, not have to accept they can sign back on with the original teams if they don't get a satisfactory offer but they will likely get a big pay cut. Hwasung could do something underhanded and bribes a team that doesn't have the money to pick Jaedong up to make a ridicules offer forcing Jaedong to stay where he is.
|
51398 Posts
lol its like dbsk/sm fiasco
time to offer jd 500 million won for 50 years or something
|
l10f
United States3241 Posts
On August 22 2009 07:11 StRyKeR wrote: In the above example, if the companies are smart and actually want Jaedong, they would do
Company 1 offers 150M for 3 years Company 2 offers 120M for 3 years Company 3 offers 90M for 3 years.
Then if Company 3 really wants Jaedong and screw the FA system, they might do
Company 3 offers 200M for 10 years.
But then Company 1, 2 will be smart and just up their year count:
Company 1 offers 300M for 6 years Company 2 offers 240M for 6 years Company 3 offers 200M for 10 years
In the end, it ends up being pretty logical, and actually, if companies are devious enough to try to game the system, they just end up having to give the player a lifetime contract (not bad imo).
That's very true. Now that I think about it, I don't think this is a bad system after all.
|
United States47024 Posts
On August 22 2009 07:09 nadafanboy42 wrote: Still, what's preventing companies from just offering ₩1,000,000,000 for 50 years or something even more ridiculous (offer to pay JD and five generations of his descendants ₩10 a month?), to basically game the system? The fact that Jaedong can turn them down. Any offer that's made has to be at least as good as what he currently has in Hwaseung.
|
wow this thread is difficult! i keep coming back to check for news, and get really excited that there's 8 new pages... then i flick through and its just more of the same... sigh... the tension is killing me here! someone buy the dude already!
|
So what if JD decides to just not sign any contract right now? Does he have to wait until the next free agency period or can he sign one sometime when he feels like it?
|
On August 22 2009 08:01 TheYango wrote:Show nested quote +On August 22 2009 07:09 nadafanboy42 wrote: Still, what's preventing companies from just offering ₩1,000,000,000 for 50 years or something even more ridiculous (offer to pay JD and five generations of his descendants ₩10 a month?), to basically game the system? The fact that Jaedong can turn them down. Any offer that's made has to be at least as good as what he currently has in Hwaseung. But if Jaedong turns them down, he HAS to go back to Hwaseung. There's nothing free about this.
|
damn so much debate...i just wanna find out where he is going next -.- lol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