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eeting
DEB: We're sorry that the interview is so late. Isn't it time for you to be sleeping?
Nal_rA= No, I just came after I finished a program. Commentator Han Seung Yup said he was going to enlist for his military service, so there was a vacant spot in "Star Infinity Challenge". I'd probably be tired if there was a broadcasted match that I had to commentate, but normally this is about the time that I analyze matches.
Kingdom= Doesn't "Star Infinity Challenge" get good ratings? I'm envious. I can do those shows well too.
Nal_rA= It's too early for you. You always got way over yourself even as a player. I saw you commentate on WCG Korea. You were pretty good for just a beginner. The MBCGame people were praising you.
Kingdom= I'm wondering if I should board this plane*. Since I need a lot of improvement, I thank those who criticize me. I hope you criticize me too, Nal_rA. I mean it.
Nal_rA= I mean it too. It's not wrong to call someone who's good, "good". I never seen someone who spoke that much after 1 month since debuting in the commentator scene.
Kingdom= I'll take that as a compliment, but I don't have my own style yet, and I get stressed because I sometimes say things without thinking. I get stressed by the comments and I get less sleep every night.
![[image loading]](http://img.dailygame.co.kr/news/200909/attachments/20090910_a4bef4ddf9f074b2bfb30f7b75969820.jpg)
◆Determining the senior
DEB: The atmosphere is too serious. The interview becomes too realistic if you talk about your jobs from the start. Let's talk about the past. Most fans think you two are enemies, not friends. What do you feel about each other?
Nal_rA= There's nothing good or bad between us. I debuted through GO and I moved to KTF. Kingdom went through Hanbit to SKT and finished his career there. Our experiences don't overlap.
Kingdom= There aren't that many chances for progamers to become friends. Especially since 2005 when proleague became prominent. The companies began to sponsor teams and the system became more rigid. The teams have different days off and different schedules, so it's difficult to meet players outside of your team.
Nal_rA= Kingdom is right. When I had days off I could only go to the CJ house. I couldn't meet players from any other team. Reach and Kingdom met often but I couldn't make it.
Kingdom= For me, it's comfortable to hang out with my old team. Now that I think about it, even though Nal_rA became a commentator before I did, I debuted as a progamer before him.
Nal_rA= At what age did you get it? Even though I started gaming early, I didn't have a major title for a while, so I got mine [progaming license] late.
Kingdom= When I was 19. They gave me the progaming license when I made it to Ro16 of an OSL.
DES= Now a player has to win Courage tournament and get picked in the draft to become a progamer. How was it done back then?
Kingdom= back then, if you got high place in two tournaments, or if you got on a broadcasted match such as MSL, they gave you the license. I don't know the details. Anyway, I got mine soon after debuting.
Nal_rA= I was talking to Reach before and I got mine after

Kingdom= I wish you didn't think that way. You are the senior as a commentator, and it doesn't make sense to think that someone is your senior just because he got the license before you. If you're older and have about the same experience, you're the hyung, Nal_rA hyung.
Nal_rA= I understand. Kingdom dongsaeng.
Everyone= hahaha.
![[image loading]](http://img.dailygame.co.kr/news/200909/attachments/20090910_9b360e41bb94d104729cb7bb7c7e6d74.jpg)
◆Rivalry
DES= Now since we gave our greetings, why don't we talk more comfortably. It's awkward. It's known that Nal_rA and Kingdom have the most complex history out of the protoss(es?). Is there any memorable moment or match?
Kingdom= I remember it better than Nal_rA, because I won every important match we had. (laughs) I won a lot against Nal_rA sunbae in decisive matches. For example, I won the Jamsil Baseball Field Finals (Mycube Starleague).
Nal_rA= I can't deny it. I lost in many BoX matches in the beginning... but I won many matches recently, so we probably have same win/loss now.
Kingdom= Let's go back to the past. I won in Challenge League Finals, 2003 Mycube Starleague Finals. The next year, I won in SPRIS MSL loser's finals. I got to an MSL finals thanks to Nal_rA, although I lost to iloveoov. Nal_rA hyung raised me a lot. I was happy. I want to thank you Nal_rA hyung, even though it's late.
Nal_rA= Now that I listen, I lost everything. But I also went to a finals thanks to you. 2006 Pringles MSL Season 1, I won 3-0. Since then, fans started loving me. If I look back to my playing days, I always thought of

Kingdom= I couldn't even look at Reach**. I always lost to him, so I didn't know what to do. So I picked Nal_rA hyung as my target. I practiced overnight every time I had a match with Nal_rA. I really wanted to win. I think that's why I won a lot of the matches in the beginning.
Nal_rA= I think how you think of your opponent impacts the game a lot. Those who think they are underdogs tend to practice more, and those who think they have the upper hand slack a bit.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skills isn't too great, I think whoever tries harder comes out on the top.
Kingdom= I feel that way too. I won most of the games to mid-2005. But I started thinking 'I'm strong against Nal_rA, now let's aim for Reach'. Since then, I kept losing to Nal_rA, but I started to do better against Reach, including that amazing match with dark archons.
![[image loading]](http://img.dailygame.co.kr/news/200909/attachments/20090910_422ee8252ddc57d1530a97ea7a06ef5d.jpg)
DES= You two were protoss representatives of KTF and SK Telecom. Tell me about back then. You two even played against each other in proleague finals.
Nal_rA= I think I improved a lot in KTF. I was the protoss ace in GO too, but never did my teammates follow my lead until I joined KTF.
Kingdom= Back then you even played on the ACE match. We knew that when we're playing against KTF "the ACE match is against Nal_rA". However, we think about who to send out to beat Nal_rA. Back then we even had the phrase "Nal_rA force". It was amazing. KTF 23 winning streak.
Nal_rA= Who cares if we did so well in the regular season. We lost the finals. I regret it now. Why couldn't I beat Kingdom in the finals?
Kingdom= We . We learned a lot from our match against Hanbit in 2004. We only thought about winning before getting to the ACE match. That's why


Nal_rA= Was it

Kingdom= I can't tell you that. (laughs)
Nal_rA= I played against Kingdom in the 5th set. Our team was losing, but I kept thinking about the ACE match. The ACE match map was Forte and I came with a brilliant strategy. Thats why I wanted to defeat BoxeR hyung in the 7th set, but I thought about it too much and ended up losing my match to Kingdom.
Kingdom= The entry was revealed on the day of the match. The two coaches named their players from 1st set to 6th set on the stage. When I heard that Nal_rA was playing the 5th set, I felt weird. Both teams sent out protoss on R-Point. I thought it was peculiar and my heart began to beat fast. That was when BoxeR hyung put it into one sentence. "Kingdom meets Nal_rA, who he always wins against" That changed my nervousness to courage. I think BoxeR hyung is an amazing person.
Nal_rA= he is amazing. We're both fussing about becoming a commentator but he's still playing.
Kingdom= yeah.
(Nal_rA and Kingdom cheers then drinks)
-To be continued
Source: Daily E-Sports
+ Show Spoiler [Original Article] +
강민 "박용욱은 내가 키웠다"
박용욱 "강민만 만나면 위축됐다"
강민과 박용욱은 프로토스의 한 시대를 열었던 대스타였다. 박정석이 가장 먼저 개인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치고 나간 뒤 강민과 박용욱이 등장하며 트로이카를 형성했다. 강민이 특이한 전략을 구사하면서 '몽상가'라는 별명을 얻었을 만큼 전략적인 특징을 갖고 있었다면 박용욱은 프로브 정찰부터 시작되는 꼼꼼한 플레이를 통해 '악마'라는 닉네임을 얻었고 전술적인 면에서 빼어났다는 평가를 받았다.
선수 생활을 마친 뒤 둘의 행보는 갈라지는 것처럼 보였다. 박용욱이 2008년 어깨 수술을 받은 뒤 SK텔레콤의 코칭 스태프가 되겠다고 선언했고 강민은 그해 8월 해설자로 전향하겠다고 발표하면서 MBC게임과 인연을 맺었다.
그렇지만 박용욱이 2009년 6월 온게임넷에서 해설자를 하겠다고 나서면서 둘은 같은 직업을 갖게되면서 경쟁 체제에 들어갔다. 2003년처럼.
데일리e스포츠는 강민과 박용욱을 한 자리에 모아 인터뷰했다. 비슷하면서도 다르고, 다를 것 같으면서도 같은 생각을 하고 있는 그들의 화려한 수다를 독자들에게 전한다.
◆만남
데일리e스포츠(이하 DES)=(9월8일 프로리그 맵 테스트를 마친 뒤 용산 e스포츠 상설 경기장에서 만났다)밤 늦게 인터뷰를 잡아 미안하다. 한참 꿈나라에 가 있을 시간 아닌가.
강민=아니다. 나도 방송을 마치고 바로 왔다. 한승엽 해설 위원이 군에 간다고 해서 '스타무한도전'에 공석이 생겼고 내가 참가했다. 생방송이라 거하게 수다 한 판 떨고 왔다(웃음). 경기가 있는 날 이 시간이면 피로감을 느낄 수도 있지만 평소에는 경기 분석으로 바쁠 때다.
박용욱='스타무한도전'이라면 시청률이 잘 나온다는 그 프로그램인가. 부럽다. e스포츠계의 예능 프로그램 아닌가. 나도 그런 프로그램 잘 할 수 있다.
강민=벌써부터 그런 욕심을 내다니. 박용욱의 욕심은 선수 때부터 지금까지 여전히 강하다. WCG 한국 대표 선발전 중계 방송 잘 봤다. 초심자라고 생각할 수 없을 만큼 잘하더라. MBC게임 쪽에서도 박용욱 해설 위원에 대한 칭찬이 자자하다.
박용욱=이 비행기를 타야될지 약간 의심이 든다. 부족한 점이 많은 나에게는 채찍을 던져주는 사람들이 더 고마운 것 같다. 강민 선배도 내 모자란 점을 지적해주길 바란다. 진심이다.
강민=나도 진심이다. 잘한다는 사람한테 잘한다고 하는 게 잘못된 것은 아니지 않은다. 해설 데뷔 1개월만에 그렇게 청산유수처럼 말을 쏟아내는 사람은 지금까지 없었다.
박용욱=감사한 마음으로 칭찬으로 받아드리겠다. 그렇지만 아직까지는 내 스타일도 없고 가끔 터지는 막말에 내가 스스로 스트레스를 받는다. 방송 모니터를 하고 시청자들의 반응을 읽고 나면 스트레스 때문에 잠이 잘 오지 않는다. 점점 취침 시간이 늦어진다.
강민=나도 해설을 시작한 지 1년 가까이 됐는데 아직까지도 지적에 귀를 기울인다. 그래도 베테랑 캐스터와 베테랑 선배 해설자들과 함께하는 프로그램이 많아 다행이다. 그 분들이 내 실수를 많이 가려주신다.
◆선후배를 가리자
DES=시작부터 분위기가 너무 진지하다. 현업에 대해서 곧바로 이야기하러 들어가면 인터뷰 내용이 너무나도 현실적이 된다. 분위기를 과거로 돌려보자. 팬들 사이에서는 강민과 박용욱이 친하지 않고 앙숙일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인데... 둘 사이는 어떤가.
강민=좋을 것도 나쁠 것도 없다. 정확하게 말하면 서로 만난 적이 거의 없다. 나는 GO라는 팀을 통해 데뷔했고 KTF로 이적했다. 용욱이는 한빛을 거쳐 SK텔레콤으로 갔고 거기에서 선수 생활을 마쳤다. 서로 겹치는 부분이 거의 없다.
박용욱=프로게이머들 사이에서 친분이 생길 기회는 많지 않다. 특히 2005년부터 프로리그에 대한 비중이 커지고 팀들이 기업팀으로 거듭나면서 시스템이 강화됐다. 팀마다 쉬는 날도 다르고 시간대도 달라서 같은 팀 선수들과 시간을 보내는 것이 대부분이다.
강민=용욱이 말이 맞다. 나도 휴일이 되면 KTF 숙소에서 나와 관계자를 만나려 하면 CJ 숙소에 놀러가는 것이 전부였다. 다른 팀 선수들은 거의 만날 수 없었다. 정석이와 용욱이는 자주 만나는 것 같던데 내가 그 모임에 끼겠다고 말을 못하겠더라.
박용욱=우리처럼 이적생들은 전에 같이하던 팀에 가는 것이 편하다. 그러고 보니까 해설자 데뷔는 민이형이 일러도 프로게이머 데뷔는 내가 더 일찍했다.
강민=몇 살 때 받았나. 내가 일찍부터 게임을 하기 시작했지만 큰 대회 입상 성적이 별로 없어서 다소 늦은 감은 있다.
박용욱=19살 때 받았다. 다른 대회 성적도 성적이지만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 16강에 오르니까 프로게이머 등록증을 주더라.
DES=지금은 커리지매치를 통과해서 드래프트에 뽑혀야 프로게이머가 된다. 그 당시의 등록제도는 어땠나.
박용욱=그 때에는 굵직한 대회에서 상위 입상을 2회 이상하거나 스타리그, MSL 등 방송대회에 나오면 프로게이머 자격증을 줬던 것 같다. 자세한 건 잘 모르겠다. 아무튼 나는 데뷔한 지 얼마 안되어 받았다.
강민=전에 정석이랑 이런 이야기를 한 적이 있는데 내가 정석이보다 늦게 받았다. (맥주로 목을 축이며)나보다 어린 친구들에게 프로게이머 선배를 내줘야 하다니... 개탄스럽다. 하하하
박용욱=그렇게 생각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해설자 자리에서는 선배 아닌가. 그리고 우리 사이에 등록증 일찍 받았다고 선배라는 건 말이 안되는 것 같다. 나이가 많고 경력이 비슷하면 '형' 아닌가. 민이형.
강민=알았네. 용욱 동생.
다함께=하하하.
◆라이벌 관계
DES=이제 인사도 대강 했으니 말을 편하게 하는 것이 어떻겠나. 서먹서먹한 감정들이 폭포수처럼 쏟아지고 있다. 강민과 박용욱은 프로토스 사이에서 가장 복잡한 히스토리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상대 전적이나 기억에 남는 장면이 있다면 무엇인가.
박용욱=그 부분이라면 제가 가장 잘 기억하고 있죠. 중요한 고비마다 제가 다 이겼으니까요(웃음). 결정적인 장면에서 강민 선배를 만났고 많이 이겼죠. 잠실 야구장 결승전이 대표적인 예죠.
강민=부정할 수는 없다. 다전제에서 초창기에 많이 졌으니... 그래도 최근에는 내가 많이 이겨서 상대 전적이 비슷할걸?
박용욱=그 때로 돌아가보죠. 제가 챌린지리그 1위 결정전에서 이겼고, 2003년 잠실 야구장에서 열린 마이큐브 스타리그에서 3대1로 이겼죠. 다음 해에 스프리스 MSL 패자 결승전에서도 제가 3대1로 이겼죠. MSL도 민이형 덕분에 결승전에 한 번 갔죠. 연성이에게 져서 그렇지. 민이형이 저를 많이 키워줬어요. 행복했죠. 민이형 늦은 감이 있지만 감사 인사를 드리고 싶어요.
강민=듣고 보니 다 졌네. 그래도 나도 니 덕에 결승전 한 번 갔어. 2006년 프링글스 MSL 시즌1 4강에서 내가 널 3대0으로 잡았잖아. 그 때부터 서서히 '광민'이라 불리면서 팬들에게 사랑도 받았고. 선수 시절을 돌아보면 나는 박정석에 대해서는 반드시 이겨야 하는 상대라고 생각했지만 박용욱에 대해서는 얕잡아 본 것 같아.
박용욱=저는 정석이는 쳐다도 못봤죠. 상대 전적 쭉 밀렸던 것도 '쫄고' 들어갔기 때문에, 뭘 해야 할 지 몰랐기 때문이라고 봐요. 그래서 잡은 타깃이 민이형이었어요. 강민과 대결한다고 대진표 나오면 그 때부터 밤새도록 연습하고 잠도 안 자고 경기하고 그랬어요. 꼭 이겨야 한다는 생각이 강했죠. 그 덕에 제가 초반에 많이 이겼던 것 같아요.
강민=상대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느냐가 승패를 가르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 헝그리 정신이랄까.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더 많이 준비하게 되어 있고 반대의 케이스는 느슨하기 마련이니까. 서로간에 실력 차이가 크지 않다면 노력하는 자가 자주 이기는 것 같아.
박용욱=저도 그걸 느껴요. 2005년중반까지 제가 정말 많이 이겼잖아요. 그런데 어느덧 '나는 강민에게 강하다'라는 생각이 들었고 '이제 박정석을 넘으러 가자'라는 쪽으로 목표가 수정됐어요. 그러더니 민이형에게는 계속 지고 정석이와는 다크 아콘을 활용한 명경기가 나오기도 했죠.
DES=두 선수는 KTF와 SK텔레콤을 대표하는 프로토스다. 그 때 이야기를 좀 해달라. 프로리그 결승전에서도 맞붙은 적이 있지 않나.
강민=저는 KTF에서 많이 성장했다고 생각해요. GO에 있을 때에도 프로토스 에이스이긴 했지만 KTF 시절, 정수영 감독님 시절만큼 동료들이 저를 믿고 따랐던 적은 없었어요.
박용욱=그 때는 형이 에이스 결정전까지 다 맡았잖아요. 우리도 KTF와 경기할 때면 '에이스 결정전은 강민이다'라는 건 다 알아요. 단, 누가 나가서 이길 것이냐를 두고 코칭스태프와 선수들이 고민하죠. 그 때 프로리그에서 '민이형 포스'라는 단어가 있을 정도였어요. 대단했죠. KTF 23연승.
강민=정규 시즌에서 그렇게 잘하면 뭐해. 프로리그 우승 타이틀을 못 가져 왔는데. 그래서 지금도 후회가 많이 돼. 특히 광안리 결승전에서 SK텔레콤 만났을 때 내가 왜 용욱이를 넘지 못했을까.
박용욱=우리는 그 당시 배수의 진을 치고 경기했어요. 2004년에 한빛 스타즈와의 경기를 치르면서 많이 배웠죠. 에이스 결정전까지 가기 전에 이기자는 것이 선수단의 하나된 생각이었어요. 그래서 전상욱이 정석이한테 치즈러시를 간 것이고 이후에도 특이한 전략으로 밀어붙인 거죠.
강민=혹시 요환이형이었어?
박용욱=그걸 어떻게 이야기해요(웃음).
강민=내가 용욱이랑 5세트에서 붙었잖아. 우리 팀이 밀리고 있는데 자꾸 에이스 결정전 생각이 나는 거야. 그 때 최종전 맵이 '포르테'였는데 내가 정말 기가 막힌 전략을 짜왔거든. 그래서 7세트에 요환이형이 나오면 내가 멋지게 이겨주겠어라는 생각만 했지. 그랬더니 용욱이한테 져서 경기가 끝났더라고. 씁쓸했지.
박용욱=그 당시 프로리그 결승전은 엔트리를 현장에서 공개했잖아요. 주 감독님과 정 감독님이 1세트부터 쭉 부르시면 매치업이 성사됐죠. 그 때 5세트 강민이라고 불리는데. 정말 의아했어요. 'R포인트'라는 맵에서 둘다 프로토스를 내놓은 거죠. 희한하다라고 생각하면서도 심장이 벌렁벌렁 거리더라고요. 그 때 요환이형이 한 마디로 정리해줬어요. "박용욱이 항상 이기던 강민을 또 만났네"라고 이야기하더라고요. 그래서 긴장감이 자신감으로 변했죠. 요환이형 보면 참 대단한 사람 같아요.
강민=요환이형 대단하지. 너나 나나 해설자하겠다고 전향했는데 아직도 현역한다는 것 보면 참 멋져.
박용욱=그러게요.
(강민과 박용욱은 맥주잔을 들어 부딪힌 뒤 두 모금 가량 마신다.)
*다음 편에 이어집니다.
*Kingdom is talking about become a commentator
**Kingdom is saying Reach was too good to be his
I kept changing between 2nd person and 3rd person because I thought some comments were directed towards each other, and some to the interviewer.
As always, criticism and suggestions are welc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