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Short: After the first sponsorship contract with LG ended, IM had been operating as LG-IM for several more months under the belief that LG would extend their sponsorship, but received no actual payment during the period. However, LG eventually decided not to extend the sponsorship, only informing IM several months after the actual decision deadline (this is IM and KeSPA's claim). KeSPA wants LG to compensate and recognize IM, as they had been freeloading on IM for several months without actually giving them any support.
![[image loading]](http://img.ruliweb.daum.net/data/news13/08m/24/pc/ruliweb_kespa.jpg)
President Jeon: "We won't just watch if they become a company exploits young players."
협회가 확인한 바에 따르면, IM팀과 LG전자의 정상적인 후원 계약은 지난해(2012년) 10월까지였고, 그 이후 현재(2013년 8월)까지 IM팀이 LG전자로부터 후원금을 지급받지 못한 채 LG전자 로고와 LG-IM팀명 만 유지하며 강동훈 감독이 사재나 소규모 서브 스폰으로 팀을 운영해 왔다. 강동훈 감독은 어렵게 팀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많은 빚을 지게 된 것도 확인되었다.
As KeSPA confirmed, Incredible Miracle and LG's contract was until the October of 2012, and after that, IM hasn't been payed, and Coach Kang has run the team with his own expense and the money from sub-sponsors. It was also confirmed that he got some debts.
협회는 강동훈 감독이 “잘못된 계약을 바로 잡아달라”는 요청에 따라 과거 협회-연맹 간의 갈등관계를 떠나 e스포츠를 대표하는 기관으로 e스포츠 팀 운영 환경 개선을 위해 사실확인을 했고, LG전자와 강동훈 감독 양쪽 의견을 모두 청취했다.
By the request of the coach, "to correct the contract", KeSPA investigated on the case as a organization represents the Korean esports scene, and listened to the both sides.
LG전자와 IM팀 강동훈 감독은 2012년 10월 계약 만료를 전후해 계약연장에 대해 논의했고, LG전자 측에서는 11월 경 재계약 금액과 조건을 제시했으며 그에 대해 사실상 양자가 합의해 연장 계약이 확정된 것처럼 보였다. LG전자는 LG그룹(회장 구본무) 블로그에 IM팀 인터뷰를 게재하는 등 실질적인 LG전자가 후원하는 LG그룹의 e스포츠 게임단으로 활동 하였다. 연장계약에 대한 계약서도 LG전자가 제안해 상호 검토한 것으로 확인됐다.
LG and IM discussed about the contract extension around the extension on October, 2012. LG offered a new contract on the November, and virtually both agreed, so it looked like they agreed the extension. IM went on for activities for LG, including being interviewed for LG's blog.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contract was offered by LG, and the both side looked through it.
2012년 12월에도 LG전자 행사에 참석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IM팀은 LG전자의 확약을 믿고, 다른 주요한 스폰사의 제의를 모두 거절하는 기회비용도 지불해야 했다. 또한 2013년 4월까지 지속적으로 양자는 활동관계를 공유하며 스폰서 재계약을 위한 협의를 지속했으나 끝내 계약은 성사되지 못했다.
Even on the December, IM participated for LG's events. Through this, IM believed that LG would affirm the contract, refusing other offers from sponsors. Also, until the April of 2013, They continuously shared activities, and kept discussing for the renewal, but it failed.
LG전자는 계약 연장 논의를 계약 만료기간 전후 2개월로 설정했고, 2012년 12월 말경 재계약으로 어렵다는 것을 통보했으니 “잘못한 것이 없다”라고 답변하고 있으나, 실제 재계약 논의기간 중 LG전자는 수차례 계약을 확약한 바 있고, 최종 재계약 불가를 양자가 모두 확실하게 인지한 시기는 2013년 4월로 재계약 논의기간이 4개월 더 지난 시점이었다.
LG claims they set the renegotiation period to 2 months after the first contract ended, and that they notified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renew around the end of December 12, thus they had done "nothing wrong." However, during the period, LG had continuously confirmed the contract, and the time when both parties recognized that the renewal was impossible was actually the April of 2013, four more months later.
협회는 해당내용을 모두 인지하고 실무차원에서 재계약이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LG전자와 IM팀을 중재하고자 했으나, LG전자는 기회비용 보상비 차원에서 천 만원 정도의 향후 행사약속 수준으로 무마시키고자 했다.
The Association recognized all the facts above, and tried to arbitrate LG and IM, but LG tried to cover this up with a promise of events with a reward around $10, 000